뉴스의 언론사적 의미

발행일 2018-04-08 20:28:23 댓글 0 글자 크기 키우기 글자 크기 줄이기 프린트

이념 편파 벗어나 알권리 찾아줘야



촛불시위가 한창일 때 한 언론인은 스스로 ‘언론의 난(亂)’이라고까지 하며 책을 냈다. 난(亂)이란 말은 단순히 반란의 의미도 있지만 여기에는 모택동이 말한 ‘천하대란’ ‘천하대치’에서 따온 의미도 있는 것 같다.

즉 대란(大亂)이 있고 나서야 대치(大治)가 가능하다는 말인데 이를 다시 중국 현실에 대입시키면 당시 모택동의 대약진운동 실패로 사회주의는 위기에 봉착해 있었다. 사회주의를 지키느냐 아니면 자본주의로 가느냐 하는 갈림길에서 모택동은 홍위병 난동을 이용하여 우파세력을 제거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결국 그는 중국공산당 내 우파세력인 유소기 등소평 등을 제거하는 데 성공한다. 원조격인 청나라 옹정제가 성공했듯이 말이다.

이번 신문의 날(4월7일) 행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는 “가짜뉴스까지 만들어지는 세상이 됐다. 뉴스 전체가 신뢰의 위기에 직면했다”고 했다. 그리고 “이것은 신문만의 문제가 아니다”고 전제하고는 “뉴스는 이제 중세의 종교 같은 ‘순종적 수용’의 대상이 아니다”고 분석했다.

촛불시위와 탄핵정국에서도 엄청난 양의 가짜뉴스가 만들어졌다. ‘청와대 굿판’ 등 대량의 오보와 과장보도가 쏟아졌다. 그런데 문제는 지금까지 어느 매체도 사과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설사 일부의 주장처럼 가짜뉴스가 소위 ‘촛불혁명’으로 역사발전에 기여했다고 해도 이것은 언론사적 측면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게다가 현재로서는 과연 가짜뉴스가 역사발전에 기여했는지 아닌지는 모르겠으나 식자층에서는 ‘아니다’라는 생각이 훨씬 더 많은 것 같다.

그런데 또 하나의 문제는 아직도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며칠 전 한 방송에서 인기스타 강사를 내세워 제주 4ㆍ3사건을 해설했다. 그런데 이 사건의 원인을 설명하면서 남로당의 활동을 주요인으로는 거의 언급하지 않고 군경의 폭력만 주요인으로 지목하고 있었다. 4ㆍ3사건은 남로당 제주도당이 주도한 무장봉기로 시작되었다고 제주 4ㆍ3평화재단이 발행한 책에서도 인정하고 있는데도 말이다.

당시 제9연대장 박진경 대령이 부하의 총에 암살당한다. 이를 두고 해설가는 “박 대령이 폭동 진압을 위해서는 제주도민 30만 명을 희생시켜도 무방하다”했고, 또 “얼마나 악랄하게 탄압했으면 그랬겠나”고 설명했다.

그러나 6ㆍ25전쟁과 월남전의 영웅인 채명신 장군의 회고록에 따르면 전혀 다르다. 그에 따르면 9연대는 좌익분자들이 많았는데 남로당원 중대장이었던 문상길 중위의 지시에 의해 암살된 사건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또 자신도 암살을 모면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당시는 어느 부대를 막론하고 좌익분자들이 들끓고 있었다. 제주에 파견됐던 그의 연대에도 좌익분자들이 많았는데 어느 날 그를 좋아하는 어느 부하가 ‘연대장 암살계획’을 일러줘서 철저히 대비하고 있었는데도 총알이 자신의 귀 옆을 지나갔다고 했다.

또 제주민심이 최고조로 격앙된 계기가 된 기마경찰의 어린이 부상사건도 그렇다. 당시 언론에 보도된 사건이 아니었다. 증거로 내놓은 기념관 전시물은 사진이 아닌 그림이었다. 왜 사진이 아니고 그림이냐 물으니 해설가는 “전해오는 말을 그대로 역사화했다”고 증언했다. 선동용으로 남로당 측에서 지어낸 말인지도 모르겠다. 이념편향적이었다.

폭동 진압 과정서 억울하게 희생된 제주도민의 원한은 당연히 풀어줘야 한다. 또 진실도 규명돼야 한다. 그러나 아직도 현장 증언이 살아있는 현실에서 이렇게 역사를 왜곡해서야 되겠나.

일부의 편파적 보도성향은 비정상에서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고 있다. 태극기집회는 여전히 비상식으로 몰려 취급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옳든 그르든 민의는 민의다. 박근혜 재판의 보도도 그렇다. 최순실과의 공모관계가 확실치 않다거나 재단의 설립이 죄인지 등에 대한 문제점 지적이 너무 소홀하다. 국민의 알 권리를 찾아주는 데 부실한 것이 아닌지 묻고 싶다.서상호주필
<저작권자ⓒ 대구·경북 대표지역언론 대구일보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