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통신]베이비부머들의 반란 ‘YOLO’ 라이프

발행일 2017-06-22 19:56:46 댓글 0 글자 크기 키우기 글자 크기 줄이기 프린트


엄지손가락을 치켜든 네 명의 남자 뒤에 병풍처럼 펼쳐진 그림이 재미있다. 어느 명승지의 하늘을 날아가는 비행기, 산과 들이 잘 어우러진 풍경 속의 산장, 근사한 식당 테이블 위의 와인, 땀을 뻘뻘 흘리며 탁구를 치는 사람, 머리에 수건을 두르고 요리를 하는 사람의 그림이다. ‘쓰죽회’라는 모임의 회원들이 추구하고 또한 현재 살아가는 모습이다.

‘쓰죽회’는 경북 안동의 노인교육기관에서 만난 칠십 대 남자 열세 명이 의기투합하여 만든 모임이라고 한다. 그들은 자기의 소유 재산을 ‘다 쓰고 죽자’는 결의로 모였다. 자식의 삶에 비빌 언덕이 되어주고 싶은 부모로서의 부담을 훌훌 벗어던지고 여생을 자유롭게 즐기겠다는 다짐으로 뭉쳤다. 핵가족 시대에 들어서서 자녀의 효심이 얇아지는 만큼 부모의 마음 역시 변하고 있나 보다. 부모와 자식은 서로의 삶을 격려하고 배려는 해 줄지언정 정신적이나 물질적으로는 완전한 독립적 관계임이 새로운 가족개념으로 정립된 현실을 보여준다.

미주 한인들 사이에서도 어느 날부터 은퇴 후의 삶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에 대한 대화가 늘어났다. 노년의 삶을 인생의 또 다른 황금기로 만들 수 있다는 꿈도 생겼다. ‘You Only Live Once’라는 말로 인생을 단언한 밀레니엄 세대의 ‘YOLO’ 라이프스타일을 이제는 노년층이 되어버린 베이비붐 세대가 추구하겠다는 것이다. 인생은 오직 한번뿐. 예행연습을 할 수도 없고 다시 고칠 수도 되돌릴 수도 없는 것 등등…. 노래의 후렴처럼 의미 없이 되뇌던 말이 이제는 현실적인 화두로 다가왔다. 더 이상 미래의 행복할 어떤 순간을 위해 현재를 희생하고 유보할 수 있는 시간이 없다는, 인생의 끝자락이라는 인식이 더욱 그들을 부추기고 있다.

‘노인은퇴문제 연구소(IRI)’의 조사에 의하면 재산을 자녀에게 물려주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는 60대 이상의 노인이 몇 년 전에는 60%를 넘던 것이 이제는 46%라고 한다. 또한 노후 재산 향방에 관한 글로벌 투자은행인 나티시스(Natixis)의 질문에 베이비부머 부모 중 40%만이 재산을 물려주겠다는 응답이었고 57%는 아예 자식에게 물려줄 재산은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자신의 것은 모두 쓰고 가겠다고 하는 사람도 35%나 나왔다.

한인의 이민이 급속히 증가한 80년대 이후, 이민 1세대는 은퇴 후의 삶에 대한 그림이 없었다. 정부에서 65세 이상의 노년층에게 주는 저소득층 연금 웰페어(welfare)를 타는 것이 큰 목표였다. 그것을 타기 위해 재산이 있는 사람도 자산이 2,000달러 이하, 부부는 3,000달러 이하라는 저소득층 기준에 맞추기 위해 주택과 차, 은행에 예금된 돈까지 모두 자녀의 이름으로 옮기고 자신을 빈털터리로 만들었다. 공인회계사조차도 그러한 재산 은닉을 부추겼다. 비록 명의는 자녀로 되어 있지만 필요할 때마다 당연히 공급을 받을 수 있을 줄 알았다. 그러나 세월이 가면서 그것이 더 이상 자기 소유가 아님을 경험하고는 후회하며 한탄하는 사람이 많다. 이제는 재산을 자식에게 맡기는 부모도, 편법을 부추기는 공인회계사도 많이 사라졌다. 대신 “내가 번 돈 내가 쓰자” “살아생전 세계일주, 다리 떨리기 전에 여행하자”라는 말이 노인들 사이에 농담처럼 퍼져나갔다. 주고객 타깃을 은퇴 후 노년층으로 삼은 대형 한인 여행사에서 슬로건으로 내세운 말이 유행어가 된 것이다.

내 아들이 고등학생 때 해 준 이야기가 생각난다. 아르바이트로 대형쇼핑몰 안의 운동화 가게에서 주말 동안 일했던 아들은 그 매장에서 영업실적 1위를 기록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할머니나 할아버지가 아이의 손을 잡고 들어오는 고객만 상대하면 된다고 했다. 그들은 손자에게 무엇이든 최고로 비싼 것으로 선물하고 액세서리도 권하는 대로 마구 사는 최고의 고객이라고 했다. 10여 년 전만 해도 자녀나 손자를 위해 아낌없이 쓰는 것이 행복인 줄로만 알았던 노년층이었기에 아들의 영업전술은 성공적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그들도 변했다. 자신의 취미 생활이나 건강, 미용을 위해 더 많이 투자하며 산다. 그 변화가 드디어 ‘쓰죽회’라는 모임까지 만들어내었다. 그들은 물질적인 것뿐만 아니라 재능, 지식, 능력도 모두 다 쓰고 간다는 생각이라고 한다.

이곳 한인사회에도 은퇴 후에 봉사하는 일로 새로운 삶의 설계를 하는 사람이 많다. 노인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에 대한 지도를 해주거나 갓 이민 온 사람들을 위해 통역도 해준다. 여생을 커뮤니티를 위해 봉사하고 가진 물질도 환원하겠다는, 나와 내 자식한테로만 쏟았던 관심을 이제는 바깥세상으로 돌리며 누군가를 섬기고 나누면서 얻어지는 보람에 행복을 느끼는 그들. 다리 떨리기 전에 돈도 지식도 재능도 모두 나누겠다는 베이비부머들의 신선한 걸음에 박수를 보낸다.성민희재미수필문학가협회이사장
<저작권자ⓒ 대구·경북 대표지역언론 대구일보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