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내 집단식중독 사고 쉬쉬할 일 아니다

발행일 2017-05-18 19:41:44 댓글 0 글자 크기 키우기 글자 크기 줄이기 프린트
최근 수년간 경북도내 학교에서 식중독 사고가 잇따라 학부모들이 가슴을 쓸어내린 일이 한 두 번이 아니라고 한다.

경북도가 집계한 ‘학교 식중독 발생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지금까지 모두 23건이 발생, 759명이 치료받았다. 학교 식중독은 2012년 5건에 불과했다. 그러나 2013년 1건으로 잠시 주춤하다가 2014, 2015년 각 4건, 지난해 6건 등 급격히 늘어났다. 올해도 4월 말까지 이미 3건이 발생했다. 심각한 증세를 보인 학생이 123명에 달한다.

집단 식중독은 교내 급식소에서 식사한 학생들이 설사, 복통 등 식중독 의심증세를 보이면 보건당국에 신고하면서 원인조사가 시작된다. 가검물을 채취해 정밀검사를 하면 주로 장출혈성대장균, 장병원성대장균 등이 검출된다. 식중독은 주로 식재료 공급, 조리과정에서 철저하지 못한 위생관리가 그 원인이다.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면 즉시 보건당국에 신고해야 한다. 학교급식 위생관리 지침도 식중독 유사증세가 2인 이상에게서 동시 발생할 경우 인지 즉시 교육청과 보건소에 신고하도록 하고 있다. 역학조사로 원인균과 감염경로를 철저히 파악해야 다른 학교 전파를 차단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일부 학교에서는 식중독 증세를 알고도 신고를 종종 미룬다는 의혹이 제기돼 답답함을 안겨준다. 구미 모초등의 경우 일부 학생이 식중독 증세로 보건실을 찾았지만 학교 측은 보건당국에 신고하지 않았다. 더구나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입단속까지 시켰다고 한다. 이처럼 신고 자체를 꺼리거나 쉬쉬하며 감춘 이유는 뻔하다.

해당 학교 교장과 급식담당자들이 징계 등 인사상 불이익을 받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예방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감춰서 될 일이 결코 아닌 것이다. 발생 사실을 쉬쉬하며 감춘 것은 눈 가리고 아웅 식에 불과하다. 원인균 대량 전파를 묵인한 행위로 지탄받아 마땅하다.

부적절한 대응은 해당 학교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린다. 이 점을 철저히 인식해야 한다. 뒤늦은 신고는 역학조사를 유명무실하게 만든다. 원인균과 감염경로 파악이 더디면 제2, 제3의 피해학교를 양산한다.

식중독 사고는 대부분 상한 식재료와 위생 불량이 원인이다. 하지만 경북도내에서는 인재도 한몫 톡톡히 해온 점이 엿보인다. 최근 5년간 식중독 사고로 징계받은 도내 학교장은 경고 8명, 주의 7명 등 15명뿐이다. 나머지는 ‘위생관리 철저 지시’조치로 끝났다고 한다.

너무나 느슨한 감시ㆍ감독이 아닐 수 없다. 식재료 공급과 조리 과정만 지켜볼 일이 아니다. 학생 건강을 끝까지 책임진다는 정신자세 여부가 더 중요하다.
<저작권자ⓒ 대구·경북 대표지역언론 대구일보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