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열병합발전소의 잦은 가동중단에 따른 증기수용업체들의 피해를 막기위해서는 전기에너지 사업법 개정과 정기검사 확대 등 대책이 시급하다. 지난 92년 설립된 구미열병합발전소는 10여년째 가동되면서 변압기를 비롯 각종 전기장치와 기계 등의 노후화가 공장가동 중지사태를 불러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전기안전점검 관련기관의 수시점검과 관리감독에도 허점을 드러냈다.

구미열병합발전소의 경우 2만kw, 9만5천kw 크기의 대형발전용 변압기로 증기와 전기를 생산해 공급하는 발전소다. 발전소는 전기에너지사업법에 따라 각종 전기장치 및 기계 등 점검을 서울의 한국전기안전공사 발전설비 검사처에서 3년에 1번씩 출장나와,정기검사를 하고 있다. 이러다 보니 발전소 가동을 위한 변압기 등 전기장치의 안전검사가 형식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고, 이것이 공장가동 중지로 이어져 증기수용업체에피해를 입히고 있는 것이다.

증기수용업체들은 지역의 일반가정과 일부업체에 대한 전기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있는 한국전기안전공사 구미지점이 구미열병합발전소까지 맡아 수시 점검함으로써 사고를 방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구미열병합발전소는 지난달 30일과 이달 들어 지난 6일, 13일 3차례에 걸쳐 주변압기 폭발 등으로 공장가동이 중단돼 구미공단의 LG실트론, 코오롱, 새한 등 58개 업체에 증기를 공급하지 못해 38억원 가량의 피해를 입힌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전력공사 구미지점 관계자는 “지난달 구미열병합발전소의 주변압기 폭발은 이해할 수 없다”며 “대용량의 변압기는 1년에 한번씩 정기점검과 수시점검이 필요한 전기장치”라고 말해 발전소 전기안전관리자의 수시점검 부실을 간접적으로 지적했다.

한국전기안전공사 구미지점 관계자는 “구미열병합발전소의 전기안전점검은 전기사업법에 따라 서울본사에서 실시하고 있다” 며 “업무가 구미지점으로 이관, 확대된다해도 발전소에 대한 관련법 개정의 어려움은 물론 전기안전 점검에 필요한 전문기술자가 부족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8만5천500kw의 전기설비 용량을 갖추고 있는 구미열병합발전소는 지난 한해 54만4천여kw의 전기를 생산, 한국전력 구미지점에 292억 7천200만원 상당의 전기료를 받았고, 시간당 850t의 증기를 생산해 구미공단내 수용업체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구미=이임철기자 im72@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