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이라는 화두가 우리에게 던져졌다. 인구가 줄고 도시가 쇠퇴하는 도심 공동화 문제로 인한 상황에 도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도시 재생이야말로 도시 경쟁력은 물론 도시의 브랜드 가치를 끌어올릴 수 있는 블루오션일 것이다.
문경시는 최근 도시재생에 대한 강좌와 포럼을 개최하는 등 도시의 기능을 되살려 지역을 활성화해 도시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세우고 도시재생사업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쌍용양회 문경공장을 전국 유일의 산업유산으로 지정하기 위한 발걸음은 문경시의 새로운 문화 성장 전략이자, 도시재생사업으로 지향해야 할 노선임이 틀림없다. 그 결과에 거는 기대도 크다. 그러나 최근 가진 용역보고회에서는 ‘이곳을 어떤 콘텐츠로 채우느냐’는 비전만 제시됐을 뿐이라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애초 이 계획은 2008년 문경시의 한 공무원이 산업유산을 활용하자고 제안했던 아이디어로 시작됐다. 한때 시 장기발전계획에 ‘시멘트박물관’으로 포함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 계획안은 실적 중심과 보여주기식 행정에 밀려나 관심과 추진동력을 잃었다.
도시재생의 문제는 지역 사회의 문화적 가치를 수학 공식이나 특산물 판매 실적처럼 단순하게 접근해서 평가해서는 안 된다. 또 한 가지 주목해야 할 것은 도시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공공미술 문제다. 공공미술은 도시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마술 같은 역할을 맡고 있다. 하지만, 환경개선사업의 목적으로 지역 일부 담벼락을 뒤덮고 있는 벽화가 장소와 주변 환경은 물론, 마을의 정체성이나 차별성도 담지 못한 채 주민들로부터 호응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도시디자인의 컨트롤타워 기능을 맡을 담당 부서의 일원화, 공공미술의 장기적인 마스터플랜 등 ‘미래의 문경’이라는 큰 틀을 먼저 그리고 난 뒤, 주춧돌을 놓는 신중한 환경개선 사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이다.
특히 ‘도시재생’은 단순히 하드웨어 측면인 도시 정비나 도시 개발에 초점을 맞춰 도시의 기능을 향상시킨다는 의미가 아니다.
과거 성장 위주의 도시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해, 단순한 물리적 방식이 아닌 경제ㆍ사회ㆍ문화 등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도시재생이 이루어지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접근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진정한 도시재생은 그 도시에 사는 지역민들이 행복하고 만족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문제다.

김형규

사회2부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