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 수필문학의 거목 한흑구

▲ 포항 호미곶 해맞이로에 있는 흑구문학관 전경. 해마다 4월이면 이 일대는 넘실거리는 청보리로 장관을 이룬다.
▲ 포항 호미곶 해맞이로에 있는 흑구문학관 전경. 해마다 4월이면 이 일대는 넘실거리는 청보리로 장관을 이룬다.

2009년 5월엔 호미곶에 ’흑구문학관‘도 개관됐다. 전국에서 가장 작은 문학관이다. 한켠에 재현된 서재에는 앉은뱅이 책상, 육필원고, 안경, 다구(茶具), 그리고 태극기가 걸려 있다. ‘덕불고’(德不孤:덕은 외롭지 않다)가 쓰여진 액자에서 그의 외로움이 느껴진다.

◆문학적 성과 지역에 머물러 아쉬워

안타까운 것은 흑구 한세광이라는 인물과 문학적 성과가 아직 지역성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척의 대구만해도 ‘한흑구’라는 이름조차 생소해 한다. 장호병 이사장도 “한흑구 선생은 작품활동에 비해 너무 안 알려져 있다. 보다 적극적인 재조명 작업이 아쉽다”고 말했다.
30년간 뿌리내리고 살면서 제2의 고향이 된 포항. 하지만 마음 깊숙한 곳에는 팔팔한 젊은 시절 떠나온 고향 평양에 대한 그리움이 늘 고여있었다. ‘한흑구 문학선집 Ⅱ’에 실린 수필 ‘모란봉의 봄’은 작고 1년전(1978)에 발표한 작품이다.
“~산천도 변하고 인심도 변하였으니 이제 어디서 내 고향을 찾을 수 있을까.”라며 안타까움을 피력하면서도 한가닥 소망을 버리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어린애의 손가락 끝같이 통통하게 부풀어 오르는 꽃망울들을 바라보면서 오늘도 고향의 산천을 곱게 물들이고 있을 새로운 봄을 또다시 한 번 생각해 본다.”
보경사 ‘한흑구 문학비’의 앞면에 새겨진 ‘보리’의 마지막 문장은 남녘 타향에 뿌리내린 한흑구 자신의 생명력과 인내를 말해주는듯 하다. “보리 너는 항상 그 순박하고, 억세고, 참을성 많은 농부들과 함께 이 땅에서 영원히,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해마다 4월이면 호미곶은 언제나처럼 청보리 바다가 된다. 작은 문학관이 있고 보리들의 향연이 일렁이는 그곳에서 ‘한흑구’의 향기를 만나봄이 어떨는지….
전경옥 언론인

연보

1909년 평양시 하수구리 출생
1923년 평양 숭덕보통학교 졸업
1928년 평양 숭인상업학교 졸업, 보성전문 상과 입학
1929년 미국 시카고 노스파크대학 입학
1930년 ‘우라키’에 시 ‘그러한 봄은 또 왔는가’ 등 발표
1932년 필라델피아 템플대학 신문학과 전학
1934년 모친 위독으로 귀향 전영택과 ‘대평양(大平壤)’ 창간
1939년 흥사단 사건으로 1년간 투옥
1945년 평양에서 서울로 이주
1948년 포항으로 이주
1958년 포항수산대학 교수
1971년 첫 수필집 ‘동해산문’ 발간
1974년 두 번째 수필집 ‘인생산문’ 발간 포항수산대학 정년 퇴임
1975~1977년 효성여대 출강
1979년 11월 7일, 70세로 작고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