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부지 선정이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그동안 1년 넘게 한 발짝도 앞으로 나가지 못했던 이전사업비 문제와 관련 대구시와 국방부가 예정지 2곳을 대상으로 모두 개략적인 예상 사업비를 산출키로 전격 합의했다. 새로운 탈출구가 열린 것이다.

대구·경북은 이를 바탕으로 신공항 추진에 가속도를 붙여야 한다.

최근 대구시와 국방부는 별도의 추가 외부 용역을 실시 않고 현재까지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사업비를 산출하는 방안에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 관계자는 앞으로 2~3개월이면 이전 사업비 산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별다른 차질이 없으면 대구시는 사업비 산정에 이어 이전지 주변지역 지원계획을 세우고, 국방부는 이전부지 선정계획을 공고한다.

상반기 중 정부의 국무조정실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공항이전사업 지원위원회가 구성된다. 이어 국방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대구군공항이전부지 선정위원회가 주민투표 등을 거쳐 최종 후보지를 결정하게 된다.

이 같은 모든 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연내 최종 후보지 선정이 가능할 전망이다.

그러나 대구공항 통합이전 성사까지는 아직 넘어야 할 난제가 첩첩이다.

우선 김해공항 확장계획을 백지화하고 대신 가덕도 신공항을 건설해야 한다는 부산경남권의 주장이 그것이다. 그러나 부산경남이 주장하는 것과 같은 가덕도 신공항은 절대 안 된다. 대구경북으로서는 결단코 받아들일 수 없고, 받아들여서도 안 되는 주장이다.

대구경북 정치권은 부산경남의 이와 같은 주장에 논란을 심화시키는 것보다는 정부의 기존 정책이 속도감 있게 추진되도록 하는데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지역 정치권은 정부가 기존 공항 이전에 변동이 없다는 점을 수차례 밝힌 만큼 별도 대응보다는 국회 대정부 질문 등에서 정부 입장을 재확인하는 것으로 뜻을 모았다.

이미 확정된 국가차원의 대형 SOC계획이 지역이기주의 때문에 변경돼서는 안 된다. 그것은 국가경영의 대원칙이다. 한쪽의 입장만 반영하는 어설픈 계획변경은 국론을 분열시키고, 지역 간 갈등을 치유할 수 없는 상태로 몰아가는 상황을 조장할 수 있다. 정부는 부산경남의 엉뚱한 주장에 단호하게 선을 그어야 한다.

문제가 복잡할 때는 곁가지를 치고 봐야 해법이 보인다. 영남권 공항 문제도 마찬가지다. 여러가지 문제가 얽혀 있지만 해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원칙대로, 법대로, 이미 합의한 대로 하면 된다.

지역공항 활성화 없이는 지방분권화, 지역경제 살리기 등 모든 지방화가 헛구호에 그치고 만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 계획을 더 이상 지체시켜서는 안 된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