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발생한 포항지진은 지열발전에 따른 인재라고 정부조사연구단이 최종 발표했다.

이번 포항지진 원인을 통해 우리는 자연을 이용하는 이 세상의 어떤 에너지원도 부작용이 없는 것은 없다는 평범한 진리를 다시금 확인했다. 너무나 값비싼 교훈이다.

환경친화적이라는 이유만으로 특정 사안을 너무 가볍게 판단하거나 또 너무 쉽게 받아들이면 안 된다는 사실도 깨달았다. 자연을 이용하는 친환경 에너지라고 해도 예기치 못한 재앙을 불러 올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최근 신재생 에너지 개발사업이 붐을 일으키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이후 다양한 유형의 신재생 에너지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가장 많이 추진되고 있는 신재생 에너지 사업은 태양광 발전과 풍력 발전이다. 그러나 여기에도 이미 크고 작은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전국 각지의 야산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태양광 발전은 임야 난개발이 가장 큰 피해다. 환경을 훼손하는 일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발전설비를 값싸게 설치하기 위해 야산을 함부로 밀고 나무를 베어내는 통에 산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여름 장마나 태풍 때 비가 많이 오면 토사가 흘러내려 인근 배수로를 막아 산사태 위험을 높인다. 또 태양광 패널의 빛 반사 때문에 생태계가 교란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부재지주들의 태양광 패널 설치로 마을 주민과의 갈등 사례도 적지않다.

저수지를 뒤덮은 태양광 패널도 문제다. 수중 생태계 교란, 경관훼손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시킨다는 지적이다.

신재생 에너지는 전력 생산량이 기상여건에 따라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대형 축전지인 ESS를 함께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지난해 5월부터 올 1월까지 ESS 관련 화재가 20건이나 발생했다. 정확한 원인을 규명할 때까지 정부가 ESS 가동중단을 요청한 상태다. 조사결과 발표는 3월 말에서 5월로 미뤄졌다.

또 정부는 지난해 임야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할 경우 20년 후 산림 원상복구 의무와 대체산림자원 조성비용 부과 등 ‘산지 일시 사용허가제’를 도입을 밝혔으나 뒷북 대책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번 포항지진 원인 발표를 보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가장 중요한 점은 더 이상 친환경 에너지 개발 과정에서 유사피해가 나오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에너지원을 찾는 노력과 실험이 위축돼서는 안 된다. 대체 에너지 확보는 미래세대를 위한 의무이기 때문이다. 성급하지 않게 대체 에너지를 확보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이어가야 한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