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보에 싸인 두 병정에게/ 윤봉길

너희도 만일 피가 있고 뼈가 있다면/ 반드시 조선을 위해 용감한 투사가 되어라/ 태극의 깃발을 높이 드날리고/ 나의 빈 무덤 앞에 찾아와 한잔 술을 부어놓아라/ 그리고 너희들은 아비 없음을 슬퍼하지 말아라/ 사랑하는 어머니가 있으니/ 어머니의 교양으로 성공자를/ 동서양 역사상 보건대/ 동양으로 문학가 맹가(孟軻)가 있고/ 서양으로 불란서 혁명가 나폴레옹이 있고/ 미국의 발명가 에디슨이 있다/ 바라건대 너희 어머니는 그의 어머니가 되고/ 너희들은 그 사람이 되어라.

- 김학준 『매헌 윤봉길 평전』 (민음사, 1992)

...................................................

내가 지금 잠시 거주하는 곳에서 전철을 타고 다섯 정거장만 가면 ‘양재시민의 숲’이 나온다. 걷기운동 삼아 산책하기 좋아 가끔 찾는 곳이다. 이곳을 ‘매헌’역이라고도 하는데 아는 사람만 알고 모르는 사람은 모른다. 매헌은 윤봉길 의사의 호를 이르며, 여기에는 윤봉길의사기념관이 있다. 올해가 1908년생인 윤 의사 탄신 111년 되는 해이고, 그저께 4월29일이 ‘훙커우 의거’ 87주년이었다. 윤봉길 의사는 그날의 쾌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소생시킨 분이라는 점에서 임정수립 100주년을 맞은 올해 더욱 뜻이 깊다.

윤봉길은 고향인 충청도 예산에서 농촌계몽운동에 매진하던 중 조선이 독립하지 않으면 아무 것도 제대로 이룰 수 없음을 인식하고서 심사숙고 끝에 독립운동에 투신하기 위하여 23세에 “장부출가생부환(丈夫出家生不還)”(대장부가 집을 나가면 뜻을 이루기 전에는 돌아오지 않는다)이라는 글을 남겨놓고 중국으로 떠났다. 최종 목적지는 임시정부가 있는 상해였다. 조국과 겨레에 대한 가장 큰 사랑을 실현하기 위한 길에 나섰음을 천명하였다. 윤봉길은 의거에 앞서 혈서로 쓴 ‘선언문’을 낭독하고, 유언으로 남긴 이 시를 김구 주석에게 건넸다.

의거에 임하는 비장함이 어느 정도인지 단박에 알 수 있다. 25세의 아름다운 청년이 자신을 초개같이 내던지면서 아직 걸음마도 떼지 못하는 두 아들에게 시를 남긴 것이다. 이 시를 통해 큰 장부의 기개를 느끼고, 대한독립의 결연한 의지를 또렷이 본다. 윤 의사가 남긴 이 친필유서는 후에 보물 568호로 지정되었다. 안타깝게도 작은 아들은 두 살 때 사망하였으며, 장남 윤종(1929~1985)에게서 장손녀 윤주경과 장손자 윤주웅이 대를 잇고 있다. 그런데 할아버지 윤봉길 의사의 ‘그 사람이 되어라’는 당부대로 살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장손녀 윤주경씨는 18대 대선 당시 박근혜 캠프 인수위에 소속되어 활동하였으며, 독립기념관장을 역임하였다. 이는 많은 독립운동가 집안이 이승만 정권 아래서 찬밥대우를 받다가 5·16이후 박정희 정권에서야 서훈이 되고 대접을 받게 된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후 박정희 정부는 독립운동가의 후손을 대거 정치권에 입문시켰다. 이러한 이유 말고도 한국전쟁 이후 남한에 남아있던 독립운동가와 그 후손들은 대체로 반공, 민족주의 계열이었기 때문에 반공을 앞세운 박정희의 군부와 결을 달리할 이유가 없었던 것이다.

그런 인연으로 김구 선생의 아들 김신과 그 후손 역시 3공화국부터 보수우익계열에서 봉사했으며 지금도 활동 중이다. 윤 씨도 같은 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겠다. 어쨌든 다 좋은데 윤 의사의 의거일 국회에서 벌어진 난동은 도무지 ‘조국을 위한 용감한 투사’의 행동으로 봐줄 수가 없으니...



김창원 기자 kcw@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