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경북도청에서 열린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추진단’ 발족 첫 회의에 참석한 자문단은 첫날부터 쟁점 사안에 대한 의견을 거침없이 쏟아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이날 활주로 길이, 동네 공항 전락 우려, 물류, 배후도시, 대구에서 제기되는 군공항만 이전하는 문제, 광역교통망 구축 등 그동안의 관심 사안을 자문의 방향으로 제시하며 1시간 45분 동안 회의를 이끌었다.



▲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8일 도청에서 열린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추진단 발족 첫 회의에서 공항 관련 전문가들이 자문단으로 배석한 가운데 발언을 하고 있다. 이 도지사는 이날 “추진단을 통해 신공항 건설에 도정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경북도 제공.
▲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8일 도청에서 열린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추진단 발족 첫 회의에서 공항 관련 전문가들이 자문단으로 배석한 가운데 발언을 하고 있다. 이 도지사는 이날 “추진단을 통해 신공항 건설에 도정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경북도 제공.
활주로 길이에 대해서는 자문위원들 간에도 3.2㎞와 3.5㎞가 엇갈렸다.

장경식 예비역공군 준장은 “활주로의 길이가 길수록 안전하다. 비용면에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긴 게 좋다”며 35㎞에 무게를 실었다.



공항 설계 회사인 ‘유신’의 허태성 부사장은 “활주로 길이 선정방법은 어떤 항공기를 들어오게 하는가인데, 교과서에서는 어떠한 항공기라도 받아들이겠다고 하면 3.5㎞를 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 경북도는 8일 도청 회의실에서 대구경북 통합신공 추진단 발족하고 신공항 건설에 전면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경북도 제공.
▲ 경북도는 8일 도청 회의실에서 대구경북 통합신공 추진단 발족하고 신공항 건설에 전면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경북도 제공.


그러나 진일남 전 아시아나항공 상무는 “2025년 (통합신공항이) 개항할 때쯤이면 380이나 747은 사라지고 장거리 대세는 350, 787이 될 것”이라며 3.2㎞에 힘을 보탰다.



양태영 포스코 건설 부장도 “김해신공항, 제주공항 업무를 수행하면서 많은 검토를 한 결과, 활주로 길이는 3천200m 정도면 98% 이상 로드를 싣고 이륙할 수 있다는 의견을 조심스럽게 낸다”고 3.2㎞ 적정안을 내면서 “여기는 군 공항이라 활주로 말단에 5㎞ 정도가 달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대식 영남대 교수는 중국과 인도의 경제성장과 중국의 저비용항공 점유율 증가 가능성을 들며, 통합신공항 수요 증가를 내다봤다. 동네 항공 전락 우려를 일축한 것이다.



윤 교수는 “앞으로 대구경북 신공항의 수요 증가 요인은 6~7%에 이르는 중국과 인도의 경제성장에 따라 국민소득이 증가하면 인바운드 증가요인이 되고 현재 5% 수준인 중국의 저비용항공 점유율도 증가하면 통합신공항에 영향을 미칠 항공 수요“라며 “동네공항 전략은 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진일남 상무도 “예전 프랑스 근무 때 여행단을 이끌고 한국 투어를 한 후 어디가 제일 좋은가를 물었더니 안동이라고 했다”며 통합신공항 이전에 따른 기회 도래를 내다봤다.



광역교통망 구축에 대한 강조도 많았다.

윤대식 교수는 “접근교통망은 인바운드 여객 증가를 위해서도 도로보다 공항철도가 중요하며 대구 시내나 구미에 쉽게 접근 가능해야 한다”며 공항철도 조기 해결을 강조했다.



허태성 부사장도 “현재의 대구공항 이용객들이 이전 공항에서도 상용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제일 중요하다”며 편리성을 강조했다.



황대유 티웨이 항공 그룹장도 “대구공항은 다운타운에 있다는 것뿐 실제 접근성은 떨어지는 편이고 통합신공항은 인바운드가 안되면 수요공급이 맞지 않아 공항사가 들어오기를 꺼린다”며 효과적인 인바운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양태영 부장도 “대구·경북의 중심점은 남쪽에 치우쳐 있고 (이전 공항) 주 이용자는 대구시민이 가장 많을 것”이라며 “접근성 솔루션에서 1시간 이내에 얼마나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것인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양 부장은 “(이전 공항) 전체 시설은 국방부가 가져가고 군이 선호하는 후보지이고 접근성은 국토부 업무와 가까워 서로 상충할 수 있다”며 “지자체가 후보 선정과정에 많이 관여해 선호하는 곳이 배점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날 군공항만 이전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 도지사는 “우리는 아시아권에서 저비용항공 40~50%로 가면, 항공수요 1천만 명은 충분히 넘어간다고 본다. 인바운드도 서울, 부산, 제주가 거의 90%를 다녀가 이제 갈 곳은 경북밖에 없다는 조사가 있다”며 통합신공항의 수요 증가에 대한 확신을 보였다.



문정화 기자 moonjh@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