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상반기 중 ‘제2의 광주형 일자리’로 경북 구미가 유력하다고 밝혔다. 지역민들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 구미형 일자리 사업으로는 전기차 배터리가 유력시된다.

‘구미형 일자리 사업’이 시행되면 침체에 빠진 구미 경제에 활력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경북도 및 대구시의 경제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청와대는 19일 “상생형 지역 일자리 사업과 관련해 구미와 군산 등 지역에서의 노력이 6월 말 이전에 구체적인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가운데 ‘구미형 일자리’가 가장 빨리 진척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다음 차례 추진이 확실시 된다. 장세용 구미시장은 지난 17일 김수현 정책실장, 정태호 일자리수석, 윤종원 경제수석 등을 만나 관련 논의를 하는 등 ‘상생형 일자리’ 마련에 빠른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

전기차 배터리 업체로는 LG화학, SK이노베이션, 삼성SDI 중 한 곳의 참여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구미가 먼저 추진될지는 아직 최종 확정된 것이 아니다”며 말을 아끼고 있다. 하지만 다음 달 말까지 확정을 목표로 논의 중이라고 밝혀 특별한 이변이 없는 한 구미형 일자리가 광주형 일자리 다음 차례가 확실시된다는 분석이다.

‘구미형 일자리 사업’은 청와대가 제시한 ‘비메모리반도체·바이오·미래차’ 등 3대 신산업 육성정책과도 맞아떨어져 타 지역 확산의 바로미터가 될 전망이다.

구미는 지난 50년간 경북 경제의 핵심축이자 성장엔진이었으나 LG, 삼성 등 대기업의 잇따른 수도권과 해외 이전과 내수 경기불황으로 침체일로의 어려운 상황을 맞고 있다. 게다가 전력을 쏟았던 SK하이닉스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 유치에 실패하면서 구미시민들이 실의에 빠져 있는 상황이다.

이참에 27년째 GRDP(1인당 지역 내 총생산량) 전국 꼴찌에 머무르고 있는 대구의 상생형 일자리 사업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대구형 일자리는 달성군의 자동차부품기업 이래AMS(구 한국델파이)가 꼽힌다.

‘광주형 일자리’로 대표되는 상생형 지역 일자리 사업은 문재인 대통령이 ‘포용성장’을 앞세운 핵심 정책이다. 기업이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으로 노동자를 고용하는 대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복지 등을 통해 임금을 보전해주는 방식이다. 지난 1월 광주시가 현대차와 손잡고 첫 시행 중이다.

정부 여당은 심각한 경제 위기 상황을 고려해 제2, 제3의 후속 모델을 개발해 조속히 시행하기를 바란다.

대구 등 타 지역에도 구미형 일자리 사업을 확대, 일자리 창출과 침체한 지역 경기를 되살리는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