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조사연구단 7개월 조사…지진촉발 확률 희박 결론

포항 이산화탄소 저장시설이 2017년 11월 발생한 규모 5.4 포항지진과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2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포항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CCS) 사업부지에 지진이 일어날 수 있는 단층이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조사연구단 관계자는 “조사된 지구물리와 지질 자료를 분석한 결과, 탄성파 단면에서 영일만 해저면 부근까지 발달한 단층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며 “영일만 일대 지층의 응력(힘)을 조사했지만, CO2 주입으로 단층이 활성화될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CCS 실증사업과 포항지진 간 관련성을 보여주는 증거가 없어 CCS 연구가 지진을 일으킬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는 결론이 난 셈이다.



CCS는 온실가스인 CO2를 대기와 격리시키기 위해 석유나 천연가스 등이 수만 년 이상 안정적으로 매립돼 있던 땅 밑 빈 공간에 CO2를 주입 저장하는 기술이다.

대기 중 CO2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차세대 환경 기술로 꼽힌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산학연은 CCS 기술을 개발하고 효용성과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2017년 3월 포항시 북구 앞바다 영일만과 남구 장기면 장기분지 등 2곳에서 실증사업에 들어갔다.



그러나 그해 11월 발생한 규모 5.4 지진 이후 CCS가 지열발전과 비슷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주민 불안과 우려가 발생해 연구과제 수행이 중지됐다.



산업부는 정부조사연구단을 꾸린 뒤 지난해 11월부터 최근까지 3억 원의 예산을 들여 CCS 실증사업과 포항지진 간 관련성을 조사해 왔다.



산업부는 CCS가 지진을 촉발할 위험성이 극히 희박하다는 조사연구단의 공식 조사 결과에도 불구하고, 포항 시민 반발로 실증사업 철수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포항지역 주민들은 지난 3월 20일 지열발전소가 땅속에 가한 수압으로 지진을 촉발했다는 정부합동조사단의 발표에 따라, 현재 CCS 시설까지 없애라고 요구하고 있는 상태다.



산업부 관계자는 “수백억 원이 투입된 포항 CCS 시설을 철수하고, 영해(해안선에서 최대 12해리) 밖이나 해외로 나가는 방안을 깊이 있게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 포항 영일만 이산화탄소 저장시설
▲ 포항 영일만 이산화탄소 저장시설






김웅희 기자 wo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