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도교육청연구원은 지난달 31일 마련한 '경북 교육정책 네트워크’. 이날 교육정책 네트워크는 교육계·학부모·교원단체 등 10명이 참석해 주제 토론과 경북교육에 대한 발전방안에 대해 머리를 맞댔다.
▲ 경북도교육청연구원은 지난달 31일 마련한 '경북 교육정책 네트워크’. 이날 교육정책 네트워크는 교육계·학부모·교원단체 등 10명이 참석해 주제 토론과 경북교육에 대한 발전방안에 대해 머리를 맞댔다.
경북교육의 희망찬 내일을 꿈꾸는 따뜻한 교육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토론의 장이 열렸다.

경북도교육청연구원은 지난달 31일 교육주체의 이해와 요구를 공론화해 경북 교육이 지닌 문제점을 살펴보고 발전방안을 모색해보는 경북 교육정책 네트워크’를 열었다.

‘인구절벽 시대, 소규모 학교 활성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교육정책 네트워크는 교육계·학부모·교원단체 등 10명이 참석해 주제 토론과 경북교육에 대한 발전방안에 대해 머리를 맞댔다.

특히 이번 토론회는 경북도교육청과 교육주체, 전교조 단체, 지역사회와 함께 소통한 첫 자리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남달랐다는 평가다.

교육에 진보와 보수가 없듯이 경북교육 발전방안을 위해 서로 힘을 모으는 자리였기 때문이다.

경북도교육청연구원 신봉자 정책연구부장은 기조 발제를 통해 “소규모학교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재정·인적·제도조건과 거버넌스 구축 등 정책의 변화가 필요할 것 같다”는 과제로 토론자들의 의견을 이끌어냈다.

참가자들은 복식학급 해소를 위한 교사 배치 기준 조정, 특색 프로그램 예산·방과후 학교 강사 지원 등 소규모 학교 활성화를 위해 심층 토론을 펼쳤다.

이 자리에서 경북혁신연구소 정재우 공감연구실장(신광초 교사)는 “공동학구제가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통학버스가 중요하고, 과밀학급 해소를 위해 작은학교 살리기가 동시에 추진돼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안계초 학부모 김미경씨는“농산어촌 소규모 학교 학생수 부족으로 정상적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자유 학구제를 확대해 달라”는 지역사회 소규모학교의 현 주소를 의견으로 제시해 공감대를 형성했다.

경북도의회 정세현 교육위원회 부위원장은“소규모학교가 지역사회의 문화이듯이 이를 위해서는 교육 주체가 지역사회로 확대되어야 한다”며 “경북도와 도의회, 경북도교육청이 거버넌스을 구축, 경북의 학생들이 미래 인재로 양성시키기 위한 노력을 시작해나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경북도교육청연구원 이예걸 원장은 “이번 협의 내용은 도교육청 각 과에 전달하고 정책적 판단을 거쳐 차후 경상북도 교육정책에 반영하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 현안과 도교육청 정책 사업의 현장 적합성 여부를 논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형규 기자 kimmark@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