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빡이, 다른 운전자를 위한 배려의 신호||-깜빡이 켬 차량에 양보하는 배려운전문화 정착

‘깜빡, 깜빡….’

지난 7일 오후 6시 대구 수성구 범어네거리에서 반월당 방면으로 향하는 달구벌대로. 한 차량이 차선변경을 위해 깜빡이를 켜자 천천히 뒤따르던 옆 차선 차량이 갑자기 속도를 올렸다.

‘한 대, 두 대, 세 대….’

여섯 대의 차량이 지나갔지만 차로변경을 허락하지 않았다. 차선변경을 위해 서행하는 차량을 뒤따르던 또 다른 차량은 경적을 울려댔다.

경찰청이 교통사고와 보복운전 유발원인이 되는 진로 급변경과 끼어들기를 줄이기 위해 ‘깜빡이(방향지시등) 켜기’ 캠페인을 지난 4월부터 전국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대구지방경찰청 역시 포스터·현수막, 홍보영상 송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이번 캠페인은 최근 3년간 앞차가 깜빡이를 켜지 않고 진로를 변경하거나 끼어들었다는 공익신고가 15만8천762건으로 전체(91만7천173건)의 17.3%를 차지하면서 진행하게 됐다.

우리나라 운전자들이 깜빡이를 켜지 않은 차량에 대한 분노는 다양한 조사를 통해 알 수 있다.

기아자동차가 2017년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운전자 75% 이상이 깜빡이를 켜지 않고 차선을 변경한 차량에 대해 분노를 느낀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청이 2016년 2월15일부터 3월31일까지 46일간 보복운전 신고사건 502건을 분석한 결과 깜빡이를 켜지 않은 채 차선을 변경한 차량에 보복운전을 한 사례는 252건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깜빡이는 도로 위 운전자들의 의사소통 수단이다. 내가 가려는 방향을 미리 주위 차량에 알려 원활한 차량 흐름을 돕거나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문가들은 깜빡이가 다른 운전자를 위한 배려의 신호라고 말한다. 방향지시등을 ‘3초 이상’ 켜고 차로 변경을 하면 차로변경 차량이나 양보 차량 모두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3초 이상’ 깜빡이를 켜면 차로 변경이 쉽지 않다. 반대쪽 차로에서 느긋하게 달리던 차량도 깜빡이 신호만 보면 빠른 속도로 따라붙기 때문이다.

정체 구간에서 끼어드는 얌체운전이 아닌 상황에서도 이 같은 상황은 벌어진다. 이는 결국 서로 배려하는 선진교통문화가 정착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독일의 경우 아우토반에서 시속 100∼200㎞로 달리던 차들도 앞 차량이 깜빡이를 켜면 대부분 속도를 줄여 앞 차량의 차로 변경을 도와준다.

이러한 교통문화는 유럽 대부분의 나라에서 비보호좌회전이 성공한 사례가 될 수 있도록 했다.

정현수 대구녹색소비자연대 대표는 “깜빡이를 켜도 차로 변경에 어려움이 없다면 대부분의 운전자는 깜빡이를 켤 것”이라며 “깜빡이를 켜는 것뿐만 아니라 깜빡이를 켠 차량에 양보하는 교통문화도 정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및 캠페인을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수 기자 khsoo@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