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시절 그 거리의 추억이 ‘새록새록’…근대를 걷는 ‘시간여행자’ 돼볼까

발행일 2019-06-12 20:00:00 댓글 0 글자 크기 키우기 글자 크기 줄이기 프린트

<10>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

영주 광복로에서 관사골 일대의 거리와 6군데의 개별 구조물이 지난해 전국 최초로 마을단위의 역사공간 등록문화재가 됐다. 사진은 광복로 상가 거리.


6월은 잘 익은 보리를 베어내는 계절이다.

그때는 낡은 정미소도 탈탈 털털 요란한 소리를 내며 활기를 띠었다. 앞마당에 넘치던 나락 냄새까지 풍요롭던 세월, 정미소는 마을의 중심이었다. 오랜 시간의 흔적이 담겨있는 공간들을 찾아본다.

‘장소’를 단순한 물리적 영역을 넘어서 새로운 개념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지난해 이맘때 쯤 문화재청은 근대문화유산의 효과적인 보존 활용을 위해 선(線)과 면(面) 단위의 문화재 등록 제도를 새로 도입하기로 했다.

근대 시기에 형성된 거리, 마을, 경관 등 역사문화자원이 집적된 지역이 그 대상이 됐다. 지금까지는 문화재 등록 대상이 건축물이나 문헌 위주의 점(點) 단위였다.

이로써 급속하게 진행된 도시화로 고유의 경관을 잃어가는 마을이나 거리 등을 폭넓게 보존·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문화재청이 등록문화재 지정 공고문과 함께 발표한 지도. 노란색은 일대의 거리 포함구역이고 주황색은 개별 근대건축 구조물을 표시한다.


첫 사례로 경북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와 전북 군산과 전남 목포의 일정 지역을 문화재로 등록한다고 예고한 것이 딱 1년 전의 일이다.

그 후 30일간의 기간을 거치고 심의를 통과해 등록문화재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공고문을 통해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는 철도역사와 그 배후에 형성된 철도관사, 정미소, 이발관, 근대한옥, 교회 등 지역의 근대생활사 요소를 간직한 건축물이 집적되어 있다며 영주동 관사골에서 광복로 일대의 거리와 6군데의 개별 공간구조물을 등록문화재 제720호로 지정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국 최초로 마을단위의 역사공간이 등록문화재가 된 셈이다.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는 근대시기 영주시의 형성과 발전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핵심 공간이다. 이곳에는 1920년부터 60년대 사이에 조성된 건물 들이 있다.

옛 영주역 5호 관사와 7호 관사, 영주동 근대한옥, 영광이발관, 풍국정미소, 영주제일교회 등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역사적 공간이다.

그 동안 개발로 인한 철거 위기도 적지 않았다. 한국전쟁과 개발논리에도 살아남은 이 6곳의 건물이 근대역사문화거리의 주축이다.

광복로와 두서로 일대에 모두 반경 300미터 남짓 안에 자리하고 있다. 걸어서 둘러보기로 했다.

세월의 흔적이 켜켜이 쌓인 영주 풍국정미소는 등록문화재 제720-5호로 지정되었다. 거대한 도정기계를 비롯한 공간 자체가 양곡 가공과 곡물 유통의 산업사적 가치가 있는 곳이다.


◆영주 풍국정미소(등록문화재 제720-5호)

붉게 녹슨 철문을 열어주는 주인 우길언(82)씨를 따라 정미소에 들어서니, 높은 천정에 달린 큰 크랭크축과 벨트가 옛 정취를 느끼게 한다.

하얗게 먼지가 내려앉은 게 수년간 영업을 하지 않은 듯하다. 어두컴컴함 속에서 낡은 기계들이 짐승처럼 웅크리고 있다.

슬레이트 지붕 사이로 들어온 자연광이 내부를 희미하게 밝히고 있다. 1966년부터 부터 직접 이곳에서 일했고, 정미소와 함께 늙어가는 우 씨는 2010년대 초에 시대의 흐름을 이기지 못하고 기계를 멈췄다고 한다.

더 이상 ‘윙윙윙~털털털.’하는 요란한 소리는 들리지 않고 고요하기만 하다.

… ‘숨 가쁘게 달려왔으나 결국 실패하고 만 늙은 혁명가’ / ‘그 풍경을 나는 이제 사랑하려 하네’….

안도현 시인은 ‘정미소가 있는 풍경’이라는 시에서 정미소를 이렇게 표현했다.

범상치 않은 아우라를 뿜어내는 건물을 보고, 비록 실패한 혁명가일지라도 그 존재만으로도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세월의 흔적이 켜켜이 쌓인 이 공간에는 요즈음 시간의 흔적을 보러오는 이들이 더 많다.

얼마 전 기계를 연구하는 공학도들이 서울서 찾아와 이틀간이나 머물면서 자료를 수집해 갔다.

근대 산업 시기부터 운영된 정미소로 양곡 가공업의 생성과 양곡 유통에 관련한 역사가 고스란히 존재하고 있다.

건축형식과 목재 설비구조, 도정 기기들 외에도 판수동 저울 등 당시의 정미소와 관련된 기구가 세월의 먼지를 쓰고 숨 쉬고 있다.

장소 자체가 양곡 가공과 곡물 유통의 산업사적 가치가 있는 곳으로 보인다. 당국에서는 향후 이곳을 양곡 가공과 곡물 유통을 주제로 한 산업문화관, 쌀 카페, 도정 참관 및 판매장으로 활용하면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광복 이전, 6·25전쟁 전후의 근대건축물이 남아있는 두서길 일대는 관사골로 불린다. 사진 왼쪽 아래 영주역 7호 관사의 낡은 건물과 그 오른쪽으로 영주역 5호 관사의 지붕도 보인다.


◆영주역 5호 관사(등록문화재 제720-1호)와 7호 관사(등록문화재 제720-2호)

영광중학교 옆 가로수 그늘을 따라 오르막길을 걸어 관사골을 찾아 갔다.

어린이공원이라 불리는 작은 동산위에 오르자 영주동을 중심으로 시가지 전체가 한눈에 들어왔다.

영주의 진산(鎭山)이라 일컫는 해발 276m의 철탄산이 내려다보고 있다.

일제강점기부터 영주는 철도 교통이 발달해 철도 종사자들로 붐볐고, 역무원들의 관사도 늘어나 현재 두서길 일대는 관사골로 불린다.

1942년 중앙선이 개통되고, 영주역이 중간 역으로 역할 한 것이 영주시가 근대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등록문화재 제720-1호 영주역 5호 관사는 1935년 지은 건물로 일본식 목조 관사주택의 전형을 보여주는 건축물 중 하나다.


이 일대는 고려 말·조선 초 시기 유적을 비롯해 광복, 6·25전쟁 전후의 근대건축물이 다수 존재하는 곳이다.

영주 근대도시 형성과 발전의 산 역사가 된 장소이기도 하다.

부근에는 다른 관사도 남아있지만 내부공간구성, 외관형태, 구조 및 재료의 보존상태가 좋으며 원형 보존이 잘 된 '5호 관사'와 '7호 관사'를 등록문화재로 지정했다.

1935년 지은 건물로 일본식 목조 관사주택의 전형을 보여주는 건축물 중 하나다.

창이 바깥으로 튀어나온 구조이고 지금은 시멘트 기와 지붕을 하고 있다.

대개의 오래된 건물들이 그러하듯 다소 비장하게 남쪽을 향해 서있다.

영주동 근대한옥은 팔작지붕에 정면 7칸, 측면 6칸의 규모이며 옛 한옥의 전형을 보여 준다. 등록문화재 제720-3호이다.


◆ 영주동 근대한옥(등록문화재 제720-3호)

관사골로 올라가는 길 왼쪽 조금 낮은 곳에 '영주동 근대한옥'이 있다.

작은 공터에는 채소가 가득한 텃밭이 있고 그 앞으로 골기와 집이 한 채 보이므로 쉽게 찾을 수 있다.

문화재청 자료에 따르면, 명나라 황제가 어머니의 병을 고쳐준 의원 이석간에게 보답으로 99칸 본채와 별채 여러 채를 지어주었다고 한다.

지금 우리가 볼 수 있는 건 별채인데, 그마저도 1920년에 신축한 거라고 한다.

팔작지붕에 정면 7칸, 측면 6칸의 규모이며 현재의 상태로 남아있다. 옛 한옥의 전형을 보여주는 격자무늬의 문들이 보인다.

80여년의 역사를 가진 영주 영광이발관. 이발 역사의 흔적을 간직하고 지금도 영업을 계속하며 추억의 비누향기가 나는 공간이다. 등록문화재 제720-4호.


◆영주 영광이발관(등록문화재 제720-4호)

풍국정미소를 나와 조금 걸으면 광복로 남쪽도로변에 보인다.

1930년대부터 ‘국제이발관’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시온이발관’으로 바뀌었다가 ‘영광이발관’에 이르는 80여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1970년경 현재의 이발관을 운영하는 사람이 인수하여 지금의 이름으로 영업 하고 있다. 서민들의 일상 생활역사의 흔적을 보여주는 곳이다.

1950년대 근대산업시기에 건축된 슬레이트 목조구조의 건축물이다. 영주에서 80년 동안 지속된 장인의 이발관 역사의 흔적을 보여주는 사례로 업계의 변화와 특성, 기술을 간직하고 있다.

사라져가는 ‘이발관’의 생활사적 가치가 높은 근대유산이다. 이곳에서는 여전히 비누 거품 솔과 가죽 끈에 면도칼을 갈고, 추억의 비누향기가 나는 곳이다.

영주 제일교회는 영주시의 근현대사에서 시민이자 신도들인 지역 주민들의 삶과 역사적 흔적이 남아있어 등록문화재 제720-6호로 지정되었다.


◆영주 제일교회(등록문화재 제720-6호)

문화재청 등록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영주 제일교회는 1907년 정석주 집에서 기도모임으로 시작되었고, 1909년 4월 초가 3칸을 매입하여 교회를 설립하고 경북노회에 가입하였다고 한다.

2007년에 이미 창립 100주년이 됐다. 1938년 신사참배 반대운동으로 목사와 장로‧전도사들이 구금 또는 옥고를 치렀다.

한국전쟁 중에 소실되었다가 신도들의 노역봉사로 1958년 7월 준공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영주지역에서는 유일한 서양의 고딕식 건축양식이 보이는 절충형의 예배당 근대건축물이다.

영주시의 근현대사에서 시민이자 신도들인 지역 주민들의 삶과 역사적 흔적이 남아있어 전승 보전해야 할 문화유산으로 가치가 있다고 문화재청은 보았다.

이렇게 해서 선과 면 단위로 지정된 등록문화재를 차례로 둘러보았다.

지나간 것은 지나간 대로 그런 의미가 있다지만, 주민들은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일제의 잔재를 보존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과 역사적으로 지켜야할 우리의 역사라는 주장이 엇갈린다.

학계에서는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적산가옥을 보존해야 한다고 본다.

일제가 남긴 오욕의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교훈의 대상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역사적 비극이 담긴 장소를 찾아 반성하고, 교훈을 얻는 여행을 뜻하는 ‘다크 투어리즘’도 있다.

서울 서대문형무소나 나치독일이 남긴 흔적을 오히려 되살린 사례이다.

근대 유산은 자랑스럽든 아니든 우리 근·현대사의 증거다.

그리고 이는 우리의 삶의 일부였다. 우리가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공간의 의미가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만으로도, 세계는 커지고 우리 시야는 더 넓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 오랜 공간에는 만남이나 또는 헤어짐, 수많은 이야기 들이 있었을 것이다.

아픔의 시간을 딛고 지금 우리는 얼마만큼 성장해 있는가. 시간이 멈춘 거리, 이 6월에는 그리움과 함께 걷는다.

글·사진=박순국 언론인
(글·사진= 박순국 언론인)

문정화 기자 moonjh@idaegu.com
<저작권자ⓒ 대구·경북 대표지역언론 대구일보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