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인간을 위한 기술, 인공지능

▲ 인공지능 큐레이터는 정확한 정보전달의 파트를 맡고 상담사는 오롯이 고객의 감정부분에만 집중해 고객 니즈 확보에 한층 더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인공지능 큐레이터는 정확한 정보전달의 파트를 맡고 상담사는 오롯이 고객의 감정부분에만 집중해 고객 니즈 확보에 한층 더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사무실 내 직무가 대폭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각종 서류 처리나 거래처 체크 등의 단순·반복적 업무는 AI시스템을 통한 ‘자동화 프로세스’로 대체될 것이라는 것.
▲ 사무실 내 직무가 대폭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각종 서류 처리나 거래처 체크 등의 단순·반복적 업무는 AI시스템을 통한 ‘자동화 프로세스’로 대체될 것이라는 것.
▲ AI 기술력은 ‘신속’, ‘정확’의 모토를 더욱 공고히 한다. 휴식이 필요 없고 별도의 인건비 역시도 발생치 않아 단순 작업은 AI의 몫으로 돌려야 할 시점이 오고 있다.
▲ AI 기술력은 ‘신속’, ‘정확’의 모토를 더욱 공고히 한다. 휴식이 필요 없고 별도의 인건비 역시도 발생치 않아 단순 작업은 AI의 몫으로 돌려야 할 시점이 오고 있다.
▲ AI 시대의 주체는 다름 아닌 인간이다. 10만 개 내외의 신경망을 보유한 알파고와는 달리 인간에게는 1천 억 개에 이르는 뉴런이 있다.
▲ AI 시대의 주체는 다름 아닌 인간이다. 10만 개 내외의 신경망을 보유한 알파고와는 달리 인간에게는 1천 억 개에 이르는 뉴런이 있다.
해묵은 논란이다.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의 이항 대립. 4차 산업혁명의 발발과 ‘AI 시대’ 개막과 더불어 파생된 직업관의 변혁이란 ‘창출’과 ‘소멸’이라는 이데올로기적 성격의 어젠더를 양산해 냈다.

유수의 글로벌 예측 회사에 따르면 향후 10년을 기점으로 전 세계 2천만 개에 이르는 일자리가 AI 시스템에 의해 대체될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곧 자동화 시스템 도입을 통한 일자리 창출의 청사진과 직업군 소멸로 인한 ‘잉여인간 양산’, 덧붙여 이로 인한 극심한 소득 불평등을 초래할 것이라는 방증쯤으로 여겨진다.

고찰이 필요한 문제다. 그렇다고 도래할 AI의 파생을 ‘어차피’라 치부해서도 안 될 노릇이다. 집단지성으로 치열한 성찰의 과정이라 여겨보자. 단, 가장 중요한 모토를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AI는 바로 ‘인간을 위함’이라는 캐치 프레이즈가 바로 그것이다.

초융합과 초연결이라 함은 결코 이질적 단계가 아니다. AI와 머닝러신, 빅데이터와 지능화 로봇이 적절한 조화를 이룰 수만 있다면 이미 경쟁력 제고에 중턱을 밟은 셈. 여기에 인간 고유의 ‘창의적 능력’을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AI 시대의 주체는 다름 아닌 인간이다. 10만 개 내외의 신경망을 보유한 알파고와는 달리 인간에게는 1천억 개에 이르는 뉴런이 서슬 푸르게 살아있다. 인공지능으로 하여금 최종결정권자는 오롯이 인간의 몫이라는 증명이다.

창출과 소멸, 그저 생각하기 나름이라는 것이다.





◆AI가 사람을 대신하다

산업혁명의 치열한 격동기를 거치며 그간 농업 분야를 비롯한 산업군의 전 방위적 ‘자동화’가 영위돼 왔다. 이러한 추세는 꼬리에 꼬리를 물고 3차 산업의 심벌로 일컬어지는 서비스 분야까지 AI의 시류를 온몸으로 수용해가고 있다.

우선 ‘인간의 존엄’을 최우선시하는 ‘의료분야’부터 한번 살펴보자. 이름마저 생소한 ‘AI 닥터’가 진단서부터 처방, 투약, 수술에 이르는 의료행위 전반을 컨트롤한다. 여기에도 인간의 역할은 주효하다. AI 활용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의료 활동을 인간의사가 제어하게 된다.

인간의 눈으로 미처 꼬집을 수 없는 장기 각 부분을 초음파와 CT 등 영상의학 기술의 눈부신 성장을 통해 추적해간다. 고도화된 기술을 자유자재로 적용할 수 있는 고도화 된 의료 인력의 탄생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이는 곧 AI가 기존 의사인력을 소멸시키는 것이 아닌, 더욱 고급화된 인력양성에 디딤돌이 된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명확한 상담영위가 가능한 ‘챗봇’의 대두가 기존 상담사의 일자리를 위협한다는 우려, 이제는 한낱 기우일 것으로 보인다. AI 상용화와 그로 인해 파생한 챗봇의 제고는 되레 고도화된 상담인력을 낳았다. 바로 ‘인공지능 큐레이터’의 이름으로. 인공지능이 정확한 정보전달의 파트를 맡고, 상담사는 오롯이 고객의 감정 부분에만 집중, 이를 통해 고객의 니즈확보에 한층 더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AI와 인간의 융합이자 적절한 분업화 전략이다.

제조업에서의 AI 기술력은 ‘신속’, ‘정확’의 모토를 더욱 공고히 할 요량이다. 휴식이 필요 없고, 별도의 인건비 역시도 발생치 않을 터. 아울러 향후 상점의 계산대는 인간이 아닌 AI의 몫으로 돌려야 할 시점으로 보인다. ‘무인주문시스템’의 이름으로 오차 없고 안전한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계산원의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이제는 사무실 내 직무가 대폭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각종 서류 처리나 거래처 체크 등의 단순·반복적 업무는 AI 시스템을 통한 ‘자동화 프로세스’로 대체된다는 것. 아버지의 꿈이었던 ‘화이트 칼라’는 뒤안길로 사라질 전망이 지금으로선 우세하다.

커피의 맛은 정성이 반이라지만 향후에는 균등한 맛의 커피 제조가 가능한 ‘AI 바리스타’야말로 커피시장의 또 다른 핵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원리는 간단하다. 집게발을 지닌 AI 로봇이 커피가루를 드립에 부운 후 원두기계를 작동, 단 3분 만에 커피를 완성해낸다.

AI 바리스타는 다양한 종류의 커피제조마저 가능하다. 그 기술력을 살펴보면 커피 종류에 따라 물의 온도와 양을 컨트롤함은 물론, 원두 개별로의 특성에 따른 수압 조절에까지 이른다. 실제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 사람 바리스타가 제조한 커피의 맛과 별반 차이가 없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면접관도 AI의 조력을 받을 예정이다. ‘AI 면접’은 마이크와 화상 카메라가 주된 기술력이다. 시스템에 인지된 지원자의 태도, 표정, 답변 내용 등을 분석, 미리 저장된 회사 인재상에 부합된 지원자를 선발해 낸다는 것.

AI 면접은 지원자 개별로의 성향뿐 아니라 맞춤형 면접을 통해 관계된 직무 역량 및 돌발 상황에 관한 대처능력 등을 체크해낸다. 이후 지원자들은 컴퓨터를 활용한 ‘인·적성 검사’를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최종면접을 마칠 수 있다.

문화재 관리에도 사물인터넷의 기술은 곳곳에 스며들어 있다. ‘문화재 모니터 시스템’을 활용, 문화재 인근으로 각종 재해 등의 변수를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이 밖에도 문화재의 균열 상태, 기울기, 온도 등을 상시 체크함에 따라, 문화재 보존 간 첨단기술을 투영시킨다는 것.

이 시스템은 별도의 배선공사가 요구되지 않는 ‘무선센서’를 적용, 이를 통해 공사비 절감은 물론이거니와 개별의 배선정리가 필요치 않아 깔끔한 외관 유지에 제격이다. 센서 거리 역시 10km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문화재뿐 아니라 인근의 노후 건물에 관한 관리까지도 쉬 아우를 수 있다.

이젠 예술에도 AI의 기술력이 십분발휘될 예정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중국연구소가 개발한 이 시스템은 AI가 특정 그림을 관찰 후, 그에 따른 감성을 발휘, 시를 작성해내는 기술이다.

과수 수확에도 인간이 아닌 로봇의 힘을 빌려볼 수 있다. 바로 뉴질랜드의 사례인데, 인건비 절감과 생산성 제고에 탁월하다는 평가다. 과수 로봇의 주요 기술력은 ‘식별기능’에 있다. 여기에는 레이저를 통해 사과 등을 인식하는 ‘라이더 기술’이 투영돼 있는데 이를 통해 과수원 이곳저곳의 경로를 인식, 원활한 수확을 가능케 한다.

이제는 ‘탈 지구화’다. AI는 우주산업에도 시나브로 손길을 뻗쳐가고 있다. 미국 ‘실리콘 벨리’의 이야긴데, 벤처타운의 명성에 맞게 이들은 ‘우주 스타트업’의 이름으로 AI와 우주의 초연결 적 모토를 꾀하고 있다.

부여받은 위성사진을 AI로 분석, 이를 바탕으로 각종 경제 정보를 공유하는가 하면, 위성사진을 통해 원유 덮개의 고저를 분석해냄으로써 현재 남아있는 원유량 체크 등을 가능케 한다.







◆미래 AI, 3가지 조건 갖춰야

이처럼 4차 산업혁명의 시류는 거세다. 앞서 겪어온 산업·정보화의 물결에 비할 바가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물밀 듯이 밀려오는 파고를 정면으로 수용하기엔 산재한 리스크 역시 무시할 수 없을 노릇. AI의 범람에 궤를 맞추기 위해선 3가지 전제 조건이 수반돼야 한다.

그 첫 번째가 대체 능력이다. 말 그대로 AI의 기술력을 토대로 기존 인간이 시행해오던 업무를 명분, 아울러 실리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명확한 근거가 수반돼야 한다.

두 번째는 ‘신뢰’의 차원이다. 타성이라 치부할 수도 있지만, 어찌됐건 AI의 업무능력이 인간으로 하여금 확실한 신뢰 프로세스가 구축돼야 함이 마땅하다. 종국엔 인간의, 인간으로 인해, 인간만을 위한 기술력이 바로 AI의 속성이기 때문으로.

세 번째는 경제적 차원이다. 가장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AI의 기술이 인건비 절감과 생산성 제고의 아이덴티티로 가시적이어야 할 터. 이 모든 조건이 삼위일체가 이뤄짐에 따라 진정한 AI 시대의 서막을 온전히 맞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총체적으로 정리해보자. 자동화시스템으로 인한 갈등은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지만, 사실상 완전한 AI 시스템 상용화를 위해선 적지 않은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가까운 미래, 불어 닥칠 4차 산업으로의 변혁 시점을 미리 대비해보자는 것이다.

가장 우선시 돼야할 것, ‘인간소외’의 경계다. AI로 인해 기존의 일자리를 위협받는 이들, 자동화 시스템에 쉬 적응할 수 없는 인력을 대상으로 기술적 교육과 고도화를 위한 업데이트 작업을 쉼 없이 시행해야 함이 마땅하다.

여기에는 노동시장 전반으로의 ‘새판 짜기’에 나섦이 필수 불가결한 요소일 것이다. 바뀐 시장의 적응력 제고를 위한 교육 훈련 등도 동시 수반돼야 한다. 정부 차원으로도 소멸 가능한 반복·단순 노동시장이 아닌, 4차 산업에 걸맞은 고사양, 고부가가치 분야 간 투자가 적극으로 이뤄져야 함이 요구된다.

인공지능의 점층적 발전은 산재한 사회문제 해결에 탁월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노동시장의 하릴없는 변화를 경계하되, 이를 통해 일자리의 근간이 변혁을 맞게 됐음을 인정해봐야 할 때다. AI로 인한 노동자들의 이직과 해고에 신산업 관련 명확한 교육커리큘럼을 설정함으로써 지피지기의 지혜를 가져보자는 것이다.

지금 서 있는 이곳이 위태로울 수 있다. ‘위기는 곧 기회’라는 원론적 얘기가 아니다. 산업화의 초기는 늘 위태로웠다. 100여 년 전, 각종 기계의 발명을 두고 당시 사람들은 ‘파괴’라 일갈하며 백척간두에 내몰림을 십분 피력했다. 다만 100년이 흐름 지금, 그때의 위태로웠던 파괴는 오늘날 ‘파괴적 혁신’으로 추앙받고 있음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글·사진 군월드 IT사업팀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