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순간 / 피천득

이 순간 내가 별들을 쳐다본다는 것은/ 그 얼마나 화려한 사실인가// 오래지 않아/ 내 귀가 흙이 된다 하더라도/ 이 순간 내가/ 제9교향곡을 듣는다는 것은/ 그 얼마나 찬란한 사실인가// 그들이 나를 잊고/ 내 기억 속에서 그들이 없어진다 하더라도/ 이 순간 내가/ 친구들과 웃고 이야기한다는 것은/ 그 얼마나 즐거운 사실인가// 두뇌가 기능을 멈추고/ 내 손이 썩어 가는 때가 오더라도/ 이 순간 내가/ 마음 내키는 대로 글을 쓰고 있다는 것은/ 허무도 어찌하지 못할 사실이다.

- 금아 시문선(경문사, 1959)

....................................................

피천득 선생은 한국 현대수필 1세대를 대표하는 수필가이자 시인이고 영문학자였다. 담백하고 향기로운 그의 글처럼 평생을 단아하고 순박한 삶으로 많은 존경과 사랑을 받았다. 그리고 누구보다 맑고 순수한 분이셨기에 97세로 세상을 떠나시기까지 아끼는 곰돌이인형을 침대 맡에 두고 주무셨는지 모르겠다.

‘이 순간’은 시이면서 수필의 향이 느껴지고, 수필이라 하기엔 과분하게 시적이다. 수필 같은 시가 좋은 점은 이렇게 은은하면서도 침투력이 강하다는데 있다. 수필은 진실을 향해 다가가는 자기성찰을 꾸밈없이 보여주기 때문이다. 금아 피천득의 ‘수필은 청자연적이다’로 시작되는 ‘수필’은 교과서 공부를 한 사람이면 누구나 기억할 것이다. ‘수필은 한가하면서도 나태하지 아니하고, 속박을 벗어나고서도 산만하지 않으며, 찬란하지 않고 우아하며 날카롭지 않으나 산뜻한 문학이다.’

그 수필을 갈고 닦고 기리고자 수필가들이 ‘수필의 날’을 제정한 지 올해로 19년이 되었다. 조선 후기 문장가인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 중 ‘일신수필’을 쓴 첫날인 7월15일을 수필의 날로 정했다고 한다. 일신수필은 최초 9일간의 중국 여행 기록으로 각 지방의 문물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그들을 소상히 기록한 글이다. 이 열하일기에서 최초로 ‘수필’이란 용어가 사용된 게 수필의 날을 기리게 한 근거였을 것이다.

수필은 대체로 자신의 삶과 인생을 담는 생활문학으로 알려져 있다. 실은 수필뿐 아니라 모든 문학 장르가 다 삶과 인생의 발견이자 창조이다. ‘이 순간 내가 마음 내키는 대로 글을 쓰고 있다는 것은 허무도 어찌하지 못할 사실이다.’ 삶을 살아가면서 무엇이든 글을 쓰면서 사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삶의 폭이나 깊이에서 엄청난 차이가 있다. 그게 시이든 수필이든 일기든 편지든, 내 단상처럼 그 어느 것도 되지 못하는 잡문이든, 그리고 책으로 묶여지든 그렇지 않든, 인터넷 카페나 SNS 벼름박이든 상관없이.

하지만 아무리 붓 가는대로 손가락이 움직이는 대로 쓴다지만 아무렇게나 질질 내갈겨도 좋은 것은 아니다. 점잖하지 못한 센 말이 때로는 의사 표현의 강도를 드러내는 수단으로 요긴하게 기능할 때도 있다. 그러나 거친 막말이나 욕설, 비속어, 가당치 않는 비유 등을 함부로 뇌까리는 것까지 용인될 수는 없다. 그것은 환호를 받든 질타를 받든 모든 사람의 정신건강에 해악을 끼친다. 무익한 말초적인 쌍말로 인한 내성의 폐해도 크다. ‘허무도 어찌하지 못할’지라도 덮어놓고 언어파괴와 되먹지 못한 말을 일삼아서는 안 되겠다.



김창원 기자 kcw@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