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 청산 실패의 업보인가

홍덕률

대구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1970년 12월7일, 빌리 브란트 서독 총리가 폴란드를 방문했다. 양국 관계의 정상화를 위해서였다. 하지만 폴란드인들은 서독 총리를 향해 적개심을 감추지 않았다. 나치 독일의 만행을 잊을 수 없어서였다. 2차 세계대전도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시작됐다. 악명높은 아우슈비츠 집단수용소도 폴란드 있었다.

총리는 바르샤바의 한 위령탑을 찾았다. 주인공은 1943년 4월의 게토 영웅들이었다. 맨몸으로 나치에 맞섰다가 체포된 5만 6천여 명의 유대인들었다. 그 가운데 7천여 명이 수용소 가스실로 끌려가 죽었다. 브란트 총리는 위령탑 앞에 헌화했다.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마침 겨울비가 주룩주룩 내리고 있었다. 그 때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장면이 펼쳐졌다. 총리가 털썩 무릎을 꿇은 것이다. 사진은 전 세계로 전송됐다. 서독 총리의 진심어린 참회와 사죄에 세계가 환호했다. 폴란드 국민들도 서독 총리에 대한 반감을 거두기 시작했다. 치란키에비치 폴란드 수상은 브란트 수상에게 이렇게 말했다. “용서한다. 그러나 잊지 않겠다.”

2015년 5월의 일이었다. 종전 7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유럽 전역에서 있었다. 독일의 메르켈 총리가 최초의 강제 집단수용소를 찾았다. “생각과 신념 등이 나치와 다르다는 이유로 수많은 이들이 수용소에 갇히고 고문받고 죽임을 당했다.” “우리는 희생자들을 위해, 우리 자신과 미래 세대를 위해 이를 기억할 것이다”고 다짐했다.

보여주기 이벤트가 아니었다. 독일은 자신들의 과오를 정직하게 후손들에게 가르쳤다. 전범 재판에 시효를 없앤 것은 물론이었다. 2018년 11월에도 나치수용소 경비병이었던 이를 기소했다. 95세의 남성이었다.

다음은 프랑스로 눈을 돌려본다. 프랑스는 독일에 패하고 1940년 6월 휴전협정을 체결했다. 북부지방은 독일군이 점령했고 남부지방에는 비시정부가 들어섰다. 1차 세계대전의 영웅 필리프 페탱이 비시정부의 원수로 앉았다. 하지만 이번에는 독일에 적극 협력했다.

전쟁이 끝나고 프랑스는 광범위한 청산을 추진했다. 비시정부의 고위인사를 비롯해 조국을 배반한 부역자들을 재판에 넘겼다. 특히 언론인과 작가, 지식인에 대해서는 더 엄하게 책임을 물었다. 100만여 명이 재판에 회부됐고 9만여 명이 유죄판결을 받았다. 그 중 6천700여 명이 사형선고를 받았고 782명이 사형됐다. 페텡 원수에게도 사형이 선고됐다. 종신형으로 감형받았지만 1951년 7월23일 감옥에서 사망했다. 그러고 보니 꼭 68년 전 오늘이었다.

드골 대통령은 이렇게 말했다. “종기와 고름을 그대로 두고 새로운 프랑스를 건설할 수 없다.” 프랑스는 1998년에도 90세 노인을 체포해 구속했다. 2011년에는 인구 100명 정도 되는 시골마을에 페텡거리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거리 이름을 바꿨다.

일본은 독일과 달라도 너무 달랐다. 진정한 사과와 참회는 없었다. 후손들에게도 거짓 역사를 가르쳤다. 총리까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해 세계의 비난을 사기도 했다. 고위 인사들까지 과거 역사를 부인하는 말을 서슴치 않았다.

한국도 프랑스와는 천지차이였다. 반민특위도 중도에 해체됐다. 각계의 고위 인사들이 반대하고 협박까지 했다. 일제 때 친일·매국 인사들이 해방된 대한민국의 군, 경찰, 정치권, 언론계, 교육계 등으로 진출했다. 4성 장군, 대학총장, 언론사 사주들 가운데도 많았다. 심지어 대법관, 국무총리도 되고 대통령도 했다. 후손들도 승승장구했다. 친일 경력을 합리화하기 위해 일본은 한국의 은인이었다고 주장하기까지 했다. 독립운동가 후손들이 가난을 대물림하고 있는 것과는 너무 대조적이다.

최근 일본이 또다시 경제침략을 감행했다. 무례와 모순으로 가득한 도발이었다. 심지어 문재인대통령 탄핵과 친일정권으로의 교체까지 대놓고 얘기한다. 한반도 평화 기류를 불편해 하는 속내도 감지된다.

정작 문제는 우리 안이다. 이 와중에도 당리를 계산하며 힘빼는 정치인들을 본다. 일본의 심기를 불편하게 한 것이 원인이라며 대한민국 대법원과 정부를 비난하는 언론도 있다. 그것은 보수가 아니다. 친일일 뿐이다. 해방 후, 친일과 반역을 청산하지 못한 업보 치고는 너무 참담하다.

이 주제만큼은 정쟁의 대상일 수 없다. 외환 앞에 하나되고 기업의 대일의존도를 줄이며 진실을 세계에 알리는 등, 할 일이 많다. 엄중한 국면이다.



김창원 기자 kcw@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