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운석

패밀리푸드협동조합 이사장

점심으로 짜장면이 먹고 싶어 중국집을 찾았다. 그런데 짬뽕 맛집인지 줄을 선 대부분의 사람들이 짬뽕을 주문한다. 짜장면을 먹으려고 중국집을 찾아왔다가 슬그머니 짬뽕을 주문하게 된다.

이처럼 대부분 사람들은 주변의 생각에 쉽게 이끌려가게 된다. 이것을 동조압력이라고 한다. 동조압력은 다수 의견에 따르도록 암묵적으로 강제하는 사회적 압력이다. 타인이나 집단의 의견을 자발적으로 따라서 하는 행위를 동조라고 한다면 동조압력은 소수의견을 가진 사람에게 은연중에 다수 의견에 맞추는 것을 강제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런 현상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유행에 뒤처질까 싶어 어울리지 않는 옷을 입는 것도 여기에 속한다. 지난 겨울 대유행이었던 롱패딩이 그렇다. 음식점을 선택하는 기준도 이젠 맛이 아니다.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누군가 추천하는 맛집에 아무 생각없이 찾아가게 되는 것도 은근하게 작용하는 동조압력 때문이다.

긍정적으로 보면 동조압력은 유행이나 베스트셀러가 탄생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집단으로부터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압력에 굴복하여 추종하는 것이기에 부작용 또한 만만찮다. 대표적으로 소수의견이 묻혀버린다는 것이다.

현실 속에서 이런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는 곳이 여론에 민감한 정치와 언론이다. 특정한 사회적 현상이나 사안에 대해 나의 의견에 공감하지 않으면 사이비로 몰아가는 경우가 그렇다. 너무나 쉽게 사이비 보수로, 사이비 진보로 몰아가는 것을 수없이 봐오고 있지 않은가.

인터넷 공간도 마찬가지다. 어떤 사회적 이슈에 대해 사람들이 하나의 경향성을 띠게 되면 이는 곧 대부분의 의견이 되고, 나아가서 진실이 되고, 그러면 그것에 쉽게 공감하고 동조해버리는 우리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저렇게 많은 사람들이 잘못 판단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한다. 여론조사를 맹목적으로 따르게 되는 것도 다수의 의견을 우선시하기 때문이다. 나아가서는 소수의견을 피력하는 사람들을 차별하게 되고 때로는 그들의 생각을 바꾸도록 암묵적으로 강요하게 되는 것이다.

다수의 의견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다. 그걸 알면서도 집단주의 사회에서 모두가 ‘예스’라고 할 때 ‘노’라고 말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그렇지만 세상을 바꾸는 힘은 동조압력을 극복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다수의 선택, 다수의 방향을 따르지 않는 소수자가 사회를 변화시기고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최근 일본이 한국에 대해 일방적 수출규제를 감행했다. 그 이후 일본은 자신들의 셈법에 따라 한국에 대한 강경발언의 수위를 갈수록 높이고 있다. 일본의 속셈은 뻔히 보인다. 갈등을 유발시켜 평화헌법을 개정하고, 군대를 부활시켜 무장이 가능한 2차 세계대전 이전의 일본으로 돌아가려는 것이다. 동북아 강국으로 떠오르는 한국을 사전에 견제하려는 것이다. 더 크게 보면 미국과 함께 친중, 친북으로 돌아선 한국을 견제하려는 것이다. 이처럼 일본의 의도를 철저하게 분석할 필요는 있다. 그래야 거기에 따른 대응을 제대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응하는 방법은 철저하게 국익이 최우선이 되어야 한다.

아쉽게도 지금은 감정적인 방법보다 이성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의견이 줄어들고 있다. 국익을 앞세운 현실주의로 대응해야 한다는 소수의견들이 묻혀가고 있다. 집단의 압력이 너무 강해서다. 일본은 한국을 자극하며 일부러 감정적인 대응을 유발하는 듯하다. 갈수록 이성적인 대응을 이야기하는 소수의견을 내는 사람들이 설 자리가 없어지고 있다. 집단의 압력에서 벗어나서 나의 의견을 말할 용기를 내지 못하게 된다.

더군다나 지금 청와대와 여권은 일본과의 경제전쟁에서 이겨야한다며 여론몰이에 나섰다. 지지율에서도 일정부분 성과를 보이면서 더더욱 냉정하게 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은 사라지고 있다. 자칫 ‘나는 극일, 너는 친일’이라는 프레임에 걸려들면 헤어날 방법이 없어서다.

걸어오는 싸움에는 이겨야 한다. 이견이 있을 수 없다. 그래도 누군가는 지속적으로 ‘노’라고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비록 소수일지라도 나와는 다른 의견이 있음을 알고, 그 의견조차 존중해 줄 수 있어야 다수인 나의 선택이 옳은지 그른지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창원 기자 kcw@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