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경산 경흥사



▲ 경흥사 입구에 서면 두 그루 은행나무 사이로 정면에 대웅전이 보인다. 이 절의 유일한 보물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이 있는 곳이다.
▲ 경흥사 입구에 서면 두 그루 은행나무 사이로 정면에 대웅전이 보인다. 이 절의 유일한 보물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이 있는 곳이다.


가마솥더위가 이어지는 여름날 아침, 절집 기행에 나선다.



경북 경산시 남천면의 동학산(動鶴山)은 학의 형상이다. 그 이름도 학이 울며 날아와 앉았다하여 부쳐진 것이라 한다.



659년 신라의 승려 혜공이 한눈에 명당임을 알아보고 산 동쪽 자락 즉, 학의 부리에 해당하는 곳에 경흥사(慶興寺)를 창건했다.



절 터 좌우에는 학의 날개에 해당하는 산봉우리가 다시 하나씩 있고, 건너편 계곡 앞쪽으로 맑은 물이 흐른다. 이 계류는 금호강의 지류인 남천으로 흘러든다.



이러한 입지조건 때문에 신라시대에 이미 창건됐고, 고려시대를 거쳐 여러 차례 중건이 있었다고만 알려져 있다.



과거에는 4~5개의 부속 암자도 있었으며 가람 동쪽에 수십 명의 학승이 상주하던 큰 건물이 배치돼 있었다고 한다. 지금은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의 말사이다.



외부와 차단된 지형적 특성을 지닌 때문인지 절집을 찾아갈 때도 내비게이션이 잠시 혼란스럽게 했지만, 입구까지 잘 데려다 준다. 돌계단이 나타난다.



막돌로 쌓은 석축 사이로 파르스름한 이끼가 잔뜩 붙어있다. 사람들이 자주 밟지 않은 계단인 것 같다. 절 마당까지 승용차가 바로 올라갈 수 있기 때문이다.



천천히 계단을 오르니 두 그루 은행나무 사이로 학이 날개를 펼친 것처럼 좌우 대칭의 기와지붕이 보인다. 그 사이로 대웅전이 좌정해 있다. 이 절의 유일한 금빛 보물이 있는 곳이다. 배롱나무 두 그루도 붉게 빛나고 있다.



▲ 보물 제1750호 ‘경흥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당당하고 균형 잡힌 신체비례가 돋보이고 작은 이목구비가 온화함을 느끼게 하는 이 목조불상은 약 380년 전에 만들어졌다.
▲ 보물 제1750호 ‘경흥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당당하고 균형 잡힌 신체비례가 돋보이고 작은 이목구비가 온화함을 느끼게 하는 이 목조불상은 약 380년 전에 만들어졌다.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이른 아침시간이라 법당 안은 조용하다. 누군가 한사람이 부처를 향해 계속 절을 올리고 있다.



‘경흥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 경북 유형문화재였다가 2012년 2월22일 보물 제1750호로 승격됐다.

원래는 지금의 명부전에 있었는데 1993년 대웅전을 완공하면서 이전·봉안했다.



1970년대 파손부위를 수리할 때, 본존불의 복장에서 1644년(인조22)에 작성된 복장기가 나왔다. 이로써 사찰의 창건연기는 물론 정확한 불상의 조성시기와 명확한 조성주체, 불상 제작자 등을 알 수 있었다.



조성발원문에 따르면 1635년부터 선승들이 동학산 남쪽 기슭에 새로운 사찰을 창건하고자 도모하였고, 수화원 청허(靑虛)를 비롯한 조각승들이 목조불상을 조성했다.



문화재청의 기록에 의하면 이 불상은 17세기 전국에 걸쳐 크게 활약한 조각승인 청허의 조각세계를 연대적으로 이해하게하는 자료이다.



조각의 경향에서도 양감이 절제되고 고요한 상호, 당당하고 균형 잡힌 신체비례가 돋보인다.



강직한 직선위주의 선묘, 주름표현 등에서 양식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어 당시의 불상연구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자료라고 했다.



불상의 재료는 은행나무인데 옛날에는 절을 창건할 때 반드시 은행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훗날 불상을 조각할 때 그 은행나무를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였다.





▲ 두 손가락을 약간 구부린 채 엄지와 중지를 붙인 사실적이고 우아한 손의 묘사가 돋보인다.
▲ 두 손가락을 약간 구부린 채 엄지와 중지를 붙인 사실적이고 우아한 손의 묘사가 돋보인다.


본존불인 석가여래좌상은 우선 크기에 있어서 높이가 1.58m이어서 위엄이 넘친다.

등신대 크기의 황금빛 불상이 대좌 위에 앉아있으니 시선은 저절로 위로 우러러 보게 된다. 위엄을 갖춘 얼굴이지만 작은 이목구비가 온화함을 느끼게 한다.



손의 형태로 불교의 의미를 표현하는 수인은 깨달음의 순간을 알리는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양 어깨에 걸쳐진 통견 법의와 가슴 아래 수평으로 가로지른 주름이 잘 드러나 있다.



1.2m 높이의 좌우 협시불은 문수보살과 보현보살로 모두 화려한 보관을 썼다. 머리카락이 두 귀를 감싸면서 어깨 뒤로 내려 왔으며, 특별한 다른 장식은 없으나 우아한 모습이다.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55호 ‘경흥사 소장 수미단 부재’ 수미산 위에 불상을 모신다는 의미로 수미단이라 부르는 데 지금은 한 단만 남아 있다.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55호 ‘경흥사 소장 수미단 부재’ 수미산 위에 불상을 모신다는 의미로 수미단이라 부르는 데 지금은 한 단만 남아 있다.


◆수미단 부재

이 절에는 또 하나의 문화재인 수미단이 알려져 있다.



불상을 모셔놓은 단을 불단 또는 수미단이라 한다. 이 명칭은 수미산(須彌山)에서 유래했다. 고대 인도의 우주관에서 세계의 중심에 있다는 상상의 산이다.



수미산 위에 불상을 모신다는 것은 부처가 이 세상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다는 것을 뜻한다.



등록된 이 문화재의 명칭은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55호 ‘경흥사 소장 수미단 부재’ .



▲ 상상의 동물이 달려 나가는 느낌을 내기 위해 바람에 흩날리는 수염과 갈기를 표현한 수미단의 부분.
▲ 상상의 동물이 달려 나가는 느낌을 내기 위해 바람에 흩날리는 수염과 갈기를 표현한 수미단의 부분.


17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수미단은 현재 온전한 형태가 아니라 잔존 부재가 명부전 수미단의 일부로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일반적인 수미단의 구조나 규모로 볼 때 지금 남아있는 부재는 원래 수미단의 1/5 혹은 그 이하의 양으로 추정된다.



조각기법 그리고 조각 면의 구성과 배치, 채색이 뛰어나 당시 불교 목조 공예품의 높은 수준을 짐작할 수 있다.



당시 목조삼존불을 안치할 때 지금의 명부전인 대웅전을 짓고 수미단을 제작했을 것으로 추측한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보기도 한다.



▲ 부재에 조각된 소재 중에 황룡의 색감도 근래에 와서 덧칠한 흔적이 없어 고색이 완연하다.
▲ 부재에 조각된 소재 중에 황룡의 색감도 근래에 와서 덧칠한 흔적이 없어 고색이 완연하다.


이 수미단은 한 단만 남아 있지만 옛 모습을 간직한 섬세한 조각을 볼 수 있다. 부재에 조각된 소재는 게·물고기·개구리 등의 동물, 연꽃·모란 등의 식물, 용·기린 등의 짐승들이다.



상상의 동물로 표현된 기린의 꼬리 부분은 비스듬히 하늘로 향했는데 붉은 색으로 외곽선을 칠하였다. 바람에 흩날리는 수염과 갈기도 달려 나가는 생동감을 더욱 고조시킨다. 색감도 근래에 덧칠한 흔적이 없어 고색이 완연하다.



▲ 풀꽃 무늬 사이에는 검은색 게도 새겨져 있는데 앞면과 뒷면이 서로 뚫린 이중투각기법을 사용했다.
▲ 풀꽃 무늬 사이에는 검은색 게도 새겨져 있는데 앞면과 뒷면이 서로 뚫린 이중투각기법을 사용했다.


정면 왼쪽 끝에는 검은색 게가 풀꽃 무늬 사이에 새겨져 있다. 앞면과 뒷면이 서로 뚫린 이중투각기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입체감이 더욱 돋보인다. 뛰어난 솜씨를 가진 목공이 혼신의 힘으로 칼질을 했을 것으로 느껴진다.



명부전을 나와 대웅전 뒤편 언덕을 오른다. 독성각, 산령각이 나란히 자리 잡고 있다. 아래를 내려다보니 오래된 몇 기의 부도가 한여름 뜨거운 햇살 속에 앉아있다.



▲ 경흥사의 부도들은 오랜 전란을 겪으면서 많이 사라졌다. 지금 남아있는 부도는 광복 이후 신도들이 수습해 보존될 수 있었다.
▲ 경흥사의 부도들은 오랜 전란을 겪으면서 많이 사라졌다. 지금 남아있는 부도는 광복 이후 신도들이 수습해 보존될 수 있었다.


부도는 수행자의 마지막 흔적이며 뒤를 잇는 사람들에게 정진을 당부하는 무언의 상징이다. 부도에는 수행 승려의 사리가 모셔져있다. 부도에 피어난 거무죽죽한 이끼의 흔적과 한여름 동학산의 짙은 녹음이 어우러진다.



◆승병의 훈련공간



경흥사는 임란 당시 왜군을 격퇴하기 위한 승병의 훈련공간이었다. 사적기에 의하면 승병들이 호국의 군사력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사명대사도 이곳에 머물며 역할을 했다고 한다.



승병의 근거지인 밀양 표충사가 이곳에서 멀지 않으니 그랬을 법도 하다. 구릉지에 모셔져 있던 많은 부도들은 오랜 전란을 겪으면서 계곡 아래로 굴러 떨어졌다고 한다.

지금 남아있는 부도는 광복 이후 신도들이 수습해 보존될 수 있었다.



부도에는 각각 ‘해운당 치흠’, ‘금구당 선각’, ‘지월당 혜휘’ 같은 명문이 남아있어 주인을 알 수 있다. 거의가 별다른 장식이 없는 평범한 석종형 부도이다. 그래도 이 부도들은 그렇게 경흥사를 지키고 있다.



타고르의 신께 바치는 시, 키탄잘리의 한 대목이 생각나는 공간이다. ‘당신을 찬미하기 위해 나는 여기에 있습니다 / 당신이 머무르고 있는 이곳의 구석자리에 앉아 있는 것입니다.’



▲ 신라의 승려 혜공이 창건한 경흥사 전각들. 왼쪽부터 요사체, 문화재 수미단이 있는 명부전, 종무소가 보인다.
▲ 신라의 승려 혜공이 창건한 경흥사 전각들. 왼쪽부터 요사체, 문화재 수미단이 있는 명부전, 종무소가 보인다.


절을 떠나기 전에 보물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을 한 번 더 보려고 대웅전을 옆문을 열었다.



끊임없이 절을 올리던 사람도 없고 법당은 텅 비어 고요하다. 황금빛 불상 앞에 조용히 앉았다. 누군가에게 절에서는 눈에 보이는 것만 볼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것도 봐야 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절은 역사이고 문화이며 정신이니 그것을 읽어야 한다는 말로 이해한다. 천천히 불상을 바라보았다. 약간 살이 오른 얼굴 형상에 눈은 반쯤 떠서 코끝을 보는 상태이다. 양쪽 입술은 살짝 올려 미소가 있는 듯 없는 듯 편안한 표정이다. 문득 의심 한 덩어리가 안개처럼 떠올랐다.



나무를 재료로 만든 것으로 이토록 깨달음의 세계를 표현할 수 있는가 말이다. 그러니까 나무속에 이미 부처가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인가.



부처는 제자들이 자신의 모습을 만들어 참 모습이 왜곡되는 것을 원치 않았다. 진리를 등불삼고 자기 자신에게 의지하라고 했던 가르침은 바로 형상 그 너머에 있는 깨달음의 세계를 알아차리라고 한 것이다.



다시 절집을 나와 이끼 낀 돌계단을 천천히 밟으며 내려간다.



잘 자란 은행나무 두 그루가 배웅해 준다. 목조불상의 세계를 보고나서 나무는 죽어서도 살아서도 숨을 쉰다는 것을 알았다. 매미들의 긴 하모니도 들려온다. 여름이 깊어 간다.



▲ 박순국 언론인
▲ 박순국 언론인
글·사진= 박순국 언론인



문정화 기자 moonjh@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