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경북도청 사림실에서 열린 경북도 제3차 항공정책 자문회의에서 양태영(오른쪽 두번째) 포스코건설 부장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공항시설 배치 등을 발표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 4일 경북도청 사림실에서 열린 경북도 제3차 항공정책 자문회의에서 양태영(오른쪽 두번째) 포스코건설 부장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공항시설 배치 등을 발표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는 4일 제3차 항공정책 자문회의를 열고 전문가 의견을 청취했다.

이날 자문회의에서는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접근성과 편의성 확보, 확장성, 탈락이전후보지 대책 등이 논의됐다.

인천공항 설계에 참여했던 허태성 유신 부사장은 “현 대구공항의 경우 접근성이 좋은 게 장점인데 통합신공항의 경우 대구공항의 이용객을 그대로 수용할 전략이 있느냐는 게 문제”라며 접근성과 편의성 구축을 먼저 할 것을 주문했다.

오성열 한국교통연구원 공항·소음분석연구팀장도 “정시성과 속도성을 보장을 위해서는 철도시스템 구축이 맞고 공항계획에 철도를 반드시 넣도록 하는게 중요하다”면서 짐을 도심에서 먼저 부치고 갈 수 있는 도심터미널 개념도 제안했다.

양태영 포스코건설 부장도 “대구 인구가 250만 명이고 군위까지는 30㎞, 의성까지 50㎞ 거리”라며 “서대구역사에 공항도심터미널을 설치하고 대구와 신공항 접근성을 위해 개항과 동시에 대구와의 철도노선이 오픈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태성 부사장은 공항시설 배치와 관련해서도 “좌측은 격납고, 우측은 군시설이 배치되고 민항시설(터미널 등)은 끝부분에 위치하도록 돼 있는데 그 보다는 중앙에 배치하게 하는 게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향후 이용객 증가에 대비해 경북도 차원에서 좀더 적극성을 갖고 부지 확보 방안을 마련해 놔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성열 팀장도 “대구공항의 모습을 그대로 가져와서는 50~60년 후 통합신공항의 성공을 위한 목표 달성과는 거리가 멀다”며 “통합신공항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위해 부지를 좀더 확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양태영 부장도 “통합신공항 건설부지는 총 15.6㎢로 군시설 11.7㎢, 완충시설 3.6㎢, 민항시설 0.3㎢로 건설된다”며 “0.3㎢에 해당하는 민항시설 부지를 얼마나 확보하느냐가 민항 확장의 키포인트”라고 지적했다.

통합신공항 후보지 탈락지역에 대한 대책과 관련해 자문위원들은 후보지인 군위와 의성이 20㎞가까이 떨어져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공항시설을 탈락지역에 분산 배치하기도 현실적으로 어렵고, 지원사업 또한 이전지에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뾰족한 방안이 없다고 조언했다.

경북도는 이같은 항공정책 자문위원회의를 거쳐 대구시의 공항이전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에 의견을 제시할 예정이다.

윤종진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은 50조 원 이상의 지역경제 유발효과가 있는 대역사인 만큼 관계전문가 등의 자문과 검토를 통해 장래 항공수요를 감안한 충분한 규모로 건설될 수 있도록 역량을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문정화 기자 moonjh@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