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금장대 홍도공원에서 홍도야 울어라

발행일 2019-10-20 11:52:06 댓글 0 글자 크기 키우기 글자 크기 줄이기 프린트

경주 금장대 소공원에서 19일 동도명기 홍도 추모예술제 열려

경주무용협회가 지난 19일 금장대 소공원 홍도 추모비 앞에서 동도명기 홍도 최계옥 추모예술제를 열어 추모 시낭송, 태평무와 대금연주, 소고춤 등의 다양한 공연을 펼쳤다.


“누구의 피 울음인가// 꽃비경 덧널처럼 쌓이는 대숲/ 땅속 금강이 일제히 솟구치니 내 귀 천년의 서루에 올랐다 내린다// 소름돋는 저잣거리 원성을 말아쥔 북악산 솔이끼며/ 귀신새 소리마저 이곳에선 하얗게 날이선다/ 만파식적 듣고자란 서라벌 백률송순 (중략) 이별은 아픈 사랑이다/ 물천 뒷산 단석 앞산 할것 없이 귀촉도 구슬픈 서라벌의 밤/ 숨어서 울음우는 촉소리 아슴프레한 밤/ 첩첩만산 심사에 이우는 사랑아!// 아! 꽃이라면 좋겠다/ 지상에서 구속되고 천상에서 자유로운 혼인가/ 하늘에서 웃고자 했으나/ 나 땅에서 우네// 어쩌면 순간의 이별이 영원한 사랑 이었네”

경주문협 이령 시인이 지난 19일 형산강변 홍도공원에서 열린 동도명기 홍도 최계옥 추모예술제에서 낭송한 자작시 ‘홍도야 울어라’의 일부이다.

(사)한국무용협회경주시주부가 동도명기기념사업회와 함께 2016년 4월부터 금장대 소공원에 추모비를 건립하고 매년 추모예술제를 거행하고 있다.

홍도는 일제강점기 “홍도야 울지마라 오빠가 있다”는 대중가요의 그 홍도가 아니다. 정조 2년 1778년에 아버지 최명동과 경주의 세습기생 사이에서 태어나 10세에 시와 서에 통달하고 음률을 깨우쳐 20세에는 경주부윤의 추천으로 상의원에 선발돼 독보적인 존재가 됐다.

서울에서 박상공의 첩으로 살다 그가 죽자 경주로 돌아와 후학 양성에 정성을 쏟았다. 홍도가 죽음에 이르러 많은 재산을 어려운 이들에게 나눠주라는 유서를 남기고 45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후학들은 그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 묘비 ‘동도명기홍도지묘’라는 묘비를 세우고 관리하며 표상으로 삼기도 했다.

경주무용협회가 지난 19일 금장대 소공원 홍도 추모비 앞에서 동도명기 홍도 최계옥 추모예술제를 열어 추모 시낭송, 태평무와 대금연주, 소고춤 등의 다양한 공연을 펼쳤다.


장병수 경주무용협회장은 “역사 속에 묻혀 잊혀지고 사라지는 예인들의 발길이 안타깝고 애틋하다”면서 “홍도추모예술제를 매년 예인들의 정성으로 추진하며, 선인들의 뜻을 기려 스스로 갈고 닦으며 후학 양성에 열정을 다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주낙영 경주시장과 김윤근 경주문화원장은 “역사적으로 면면히 이어져내려오는 정신은 예술이요, 그 표현은 문화가 된다”면서 “아름다운 문화를 창조하고 계승발전시켜 더욱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우리들의 책무”라며 문화예술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 입을 모았다.

강시일 기자 kangsy@idaegu.com
<저작권자ⓒ 대구·경북 대표지역언론 대구일보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