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청교육대 / 박노해

서릿발 허옇게 곤두선/ 어둔 서울을 빠져 북방으로/ 완호로 씌운 군용트럭은 달리고 달려/ 공포에 질린 눈 숨죽인 호흡으로/ 앙상히 드러누운/ 아 3·8교!/ 살아 돌아올 수 있을까/ 살아 다시 3·8교를 건널 수 있을까/ 호령 소리 군화 발길질에 떨며/ 껍질을 벗기우고 머리털을 깎여/ 유격복과 통일화를 신고/ 얼어붙은 땅바닥을 좌로굴러 우로굴러/ 나는 삼청교육대 2기 5-134번이 된다// (중략)// 푸르게 퍼렇게 시퍼런 원한으로/ 깊이깊이 못 박혀/ 화려한 조명으로/ 똑똑히 밝혀 오는/ 피투성이 폭력의 천지/ 힘없는 자의 철천지 원한/ 되살아나/ 부들부들 치떨리는/ 80년 그 겨울/ 삼청교육대

- 시집 『노동의 새벽』 (느린걸음, 2004)

........................................

1980년 8월부터 1981년 1월까지 5공 출범 직전 당시 국보위위원장 전두환에 의해 만들어진 초법적 교정기관이 ‘삼청교육대’다. 영장도 없이 수많은 시민들을 체포해 전국의 각 사단 특수 훈련장으로 끌고 가서 온갖 인권유린과 막장 범죄 행각을 저질렀다. 그해 8월 나는 야간통금에 걸려 파출소에서 5시간쯤 붙잡혀있는 동안 삼청교육대로 끌고 갈 사람들을 파출소로 잡아 와서 치도곤 하는 모습을 정면에서 생생히 목격했다. ‘제보’를 받고 잡아들인 외상술값이 있는 사람, 파출소장의 친구와 사이가 좋지 않은 사람 등을 망라했다.

명목상의 징집대상자는 깡패와 상습절도 전과자들, 반정부 데모꾼, 불온선동자, 전두환 비방자, 5·18 유언비어 유포자, 윤락녀 등인데 ​실제 끌려간 사람들은 술집에서 싸움을 했거나 술 취해 길바닥에 자빠진 사람도 있었고 학교에서 좀 껄렁거리는 고교생 등도 포함되었다. 어린 학생들은 주로 부모가 항의할 여력이 되지 않는 저소득층 자녀가 대부분이었다. 오히려 진짜 조폭들은 사전에 파출소로부터 정보를 입수하여 조용해질 때까지 도피 잠적한 사례가 많았다. 할당량을 채우려다보니 노숙자, 부랑자를 비롯한 무연고자도 다수였다.

노동조합을 만들거나 노동운동을 한 노동자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 당시 직장 노조설립에 간여했던 나도 까닥하다간 끌려갈 뻔했다. 윤락가 주변에 어슬렁거리기만 해도 붙잡혀갔고 문신 장발도 이유가 되었다. 생활기반이 양동이었던 ‘도장골 시편’의 김신용 시인도 삼청교육대에 끌려갔었다. 그렇게 연인원 80여만 명의 군경에 의해 국보위 지침상의 검거대상인 ‘개전의 정이 없이 주민의 지탄을 받는 자, 불건전한 생활 영위자 중 현행범과 재범이 우려되는 자, 사회풍토 문란사범, 사회질서 저해사범’으로 덮어씌워져 6만 여명이 끌려갔다.

등급심사를 거쳐 실제 삼청교육대로 끌려간 사람은 약 4만 여명이다. 삼청교육대가 피교육생들에게 얼마나 가혹했는지는 전두환에게 밉보여서 7개월간 교육을 받은 강창성 전 보안사령관의 증언 등 여럿 있다. “죽으라면 죽는 시늉을 해야 해요. 안 그러면 죽으니까. 내가 오죽하면 구두를 핥으라고 해서 구두를 핥았겠어요.” 1988년 청문회 이후 삼청교육대의 잔인성과 야만성이 속속 폭로되었다. 국방부는 공식집계로 교육과정에서의 사망은 54명이고 후유증으로 인한 사망자를 397명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 숫자에 대해 믿을 수 없다는 시각이 대부분이다. 지금도 “이런 놈들은 삼청교육대에 보내서 버르장머리를 고쳐야 돼”라는 말을 가끔 듣고, ‘부들부들 치떨리는 80년 그 겨울’을 미화하며 추억하는 이들이 있다니...



김창원 기자 kcw@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