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통합론이 연말 지역의 핫이슈로 등장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먼저 운을 뗐다. 권영진 대구시장도 같은 의견임을 밝히고 힘을 실었다. 양 시·도의 최고 책임자가 통합 필요성을 제기하고 공론화에 나선 것이다. 시·도 통합은 오래전부터 논란이 일었다. 그랬던 것이 이철우 도지사의 언급으로 표면화된 것이다. 최근 대구·경북의 위상 추락과 바닥을 헤매고 있는 지역 경제 상황과도 무관하지 않다.

대구·경북의 경제의 현주소는 통계에서 바로 드러난다. ‘2018년 지역소득’ 통계에서 대구의 GRDP(1인당 지역내총생산)는 27년째 전국 꼴찌다. 경북의 경제성장률은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지역 경제가 침체 늪에서 헤어자니 못하고 있다. 대구는 지역 경제를 견인할 변변한 대기업도 없다. 경북은 버팀목이었던 구미의 전자 산업과 포항의 철강 산업이 주저앉고 있다. 젊은이들은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떠난다. 농촌은 인구 절벽으로 소멸 위기다.

이런 상황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23일 지역 언론인 포럼에서 “대구·경북이 다시 대한민국의 중심에 서려면 통합해야 한다”고 밝혔다.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했다. 통합의 걸림돌부터 제거하겠다는 입장이다. 권영진 대구시장도 바로 답했다. 그는 “대구·경북이 하나가 되면 위상도 높아지고 발전도 기약된다”고 했다. 통합을 위한 분위기는 띄워졌다.

대구·경북 통합과 관련, 대구경북연구원이 용역을 진행 중이다. 통합 방안과 일정도 내놓았다. 이철우 지사는 “대구·경북 통합은 특별법을 통해야 가능하다”며 “장·단점을 분석하고 시·도민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2021년까지 대구·경북의 통합을 끝내고, 2022년 지방선거에 새 단체장을 뽑아야 한다”고 구체적인 일정까지 제시했다.

하지만 대구·경북 통합은 난관이 적지 않다. 단체장의 의지만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시도민의 자발적인 참여와 숙의 과정이 필요하다. 절차와 과정이 중요하다. 일각에서는 당장의 행정 통합보다는 생활권과 경제권 통합을 통한 점진적인 진행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있다.

주민과 지방의회, 국회의원, 공무원 등의 복잡하게 얽혀 있는 이해관계와 정서도 해결해야 한다. 이해 당사자들의 충분한 논의와 설득, 양보 없이는 어렵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그동한 지역 상생 활동 등을 통해 일정 부분 공감대를 형성했다. 공무원 상호 파견근무 등을 통해 행정 통합 가능성도 살펴봤다. 상호 이해도는 상당히 높아졌다. 내년 새해부터 양 시·도가 통합을 위한 기초 작업에 전력을 쏟기를 바란다. 좋은 소식을 기대한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