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신청사 입지를 결정한 지 일주일이 지났다. 그런데 후폭풍이 숙지지 않고 있다. 탈락한 지자체가 지역 개발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시청사는 달서구 옛 두류정수장 터로 결정됐다.

중구청은 대구시청사 후적지 및 주변 지역 개발 방안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북구는 옛 경북도청 이전 터의 획기적인 개발을 요구한다. 당연히 나올 수 있는 주장이다. 또한 대구시가 후속 대응 방안을 내놓아야 마땅하다.

도청 이전 자리는 ‘대구형 실리콘밸리’ 개발 등 그전에도 여러 갈래로 검토해 오던 터여서 예산 확보가 문제지 그다지 걸림돌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대구 중구다. 중구는 도심 상인들의 반발 등으로 적잖이 홍역을 치르고 있다.

류규하 중구청장은 지난 27일 권영진 대구시장을 찾아 현 대구 시청사 후적지 및 주변지역의 개발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당초 중구는 “현 위치에 대한 타당성 검토 없이 이전을 전제로 후보지 신청을 받고 제대로 된 공론화 없이 신청사 건립 부지를 확정한 것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며 결정에 반발했다. 행정소송 불사 의지도 밝혔지만 결국 결정을 받아들였다.

대구 중구 인구는 1987년 17만8천800명을 정점으로 줄기 시작, 1998년 10만 명 벽이 무너졌다. 이후 7만 명대까지 떨어졌다가 지난해 겨우 8만 명을 넘어섰다.

대구 부도심 개발에 따른 인구 이동이 주 요인이다. 번화가였던 향촌동 일대는 1980년대부터 슬럼화되는 등 도심 공동화 현상이 심각했다. 2016년엔 시청의 절반이 옛 경북도청으로 옮겨가면서 유동인구가 더 줄었다. 이제 시청까지 옮겨가면 도심 공동화 현상은 가속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대구의 중심 중구가 초라한 신세가 됐다.

대구시는 800여 명의 시청 공무원으로 인한 생산 유발효과는 그리 크지 않다고 한다. 하지만 민원인 등 이용객들이 가져오는 유발 효과가 크다.

대구시는 중구를 역사와 문화의 중심 공간으로 많은 인구가 몰리고 생산유발 효과가 있는 곳으로 만들겠다는 기본 구상을 하고 있다. 대구시는 신청사를 대구를 상징하는 새로운 개념의 공간으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인 계획은 안 나왔지만 대구시는 시청 후적지 개발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리고 도심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공간 계획을 새로 짜야 할 것이다. 대구시는 인구 증가와 도심 상권을 살리기 위한 혁신적인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 중구는 대구의 심장이다. 이제 중구를 역동적이고 혁신적인 새로운 심장으로 만들어야 한다. 중구 개발은 또한 지역 균형 개발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탈락지 주민 달래기 차원의 접근은 안 된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