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사랑 / 고정희

그 한번의 따뜻한 감촉/ 단 한번의 묵묵한 이별이/ 몇 번의 겨울을 버티게 했습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벽이 허물어지고/ 활짝 활짝 문 열리던 밤의 모닥불 사이로/ 마음과 마음을 헤집고/ 푸르게 범람하던 치자꽃 향기/ 소백산 한쪽을 들어올린 포옹/ 혈관 속을 서서히 운행하던 별/ 그 한번의 그윽한 기쁨/ 단 한번의 이슥한 진실이/ 내 일생을 버티게 할지도 모릅니다

- 시집『아름다운 사람 하나』(푸른숲,1990)

.....................................................

그 옛날 미팅 같은데서 어떤 계절을 좋아하냐는 식의 간지럽고 니글거리는 질문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유통되곤 했다. 지금도 순진하기 짝이 없는 심심한 학생들 사이엔 수줍게 그 같은 문답이 오가고 있다. 대꾸에 따라 혈액형 따위와 더불어 상대방의 성격을 대충 간본다든지, 자신과의 주파수를 맞춰보곤 했다. 그때 겨울이 좋다 하면 순결하고 이성적인 이미지가 덧씌워진 낭만파쯤으로 인식했다. 하지만 그 대답은 계절간의 장단점을 면밀히 비교하거나 계량에 의해서가 아니라 한두 가지 평범한 이유에 이끌려 즉흥적으로 내뱉는 경우가 많았다.

그저 느낌이 좋은 순백의 강하물 때문에, 혹은 긴 방학이 있어서, 성탄절과 송년의 해방공간이 주는 매력, 그리고 겨울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는 점 등이다. 일부 살이 푸짐한 사람들은 살을 가릴 수 있어 좋다고도 한다. 그렇지만 겨울의 가장 본질적이고 깊은 매력은 그 차가움으로 뜨겁게 사랑을 촉진시킨다는데 있다. 겨울은 온기가 짙게 감각되는 계절이다. 따뜻함이 좋고 찻잔을 감싼 손의 느낌이 좋고 사람들의 따뜻한 마음이 그립다. 여름과는 달리 곁의 따스한 체온이 싫지 않고 옆에서 사람이 치대어도 성가시지 않으며 포옹도 자연스럽다.

그래서 차가울수록 사람이 좋아지는 계절이다. 문정희 시인의 ‘겨울사랑’도 ‘눈송이처럼 너에게 가고 싶다/ 머뭇거리지 말고/ 서성대지 말고 숨기지 말고/ 그냥 네 하얀 생애 속에 뛰어들어 따스한 겨울이 되고 싶다’고 했다. 고양된 격정은 고정희의 ‘겨울사랑’과 다를 바 없다. 확실히 겨울은 그 ‘따뜻한 감촉’으로 인하여 커피의 맛은 더 깊어지고 라면과 김치찌개까지도 훨씬 맛있어진다. 음악은 더 짙은 감칠맛으로 전이되고 연인들의 주고받는 밀도 높은 언어는 온기를 머금고서 스며든다.

그리고 겨울밤은 사랑의 역사가 무르익기 딱 좋은 계절. 고슴도치의 겨울나기 방식으로 연인들은 가급적 밀착, 밀착 또 밀착이다. 드디어 ‘소백산 한쪽을 들어올린 포옹,’ 이 겨울은 연인들 사이의 거리를 물리적으로 좁혀준다. 하지만 사랑이 뜨거워지면 임계점에 부글부글 끓어올라 별사를 완성하기에도 마침맞은 계절 또한 겨울이다. 누구에겐들 이 겨울, 눈이 쌓이고 녹는 동안 더운 사랑과 아린 이별의 추억이 감긴 한 롤의 낡은 필름이 없으랴. ‘그 한 번의 그윽한 기쁨’ ‘단 한 번의 이슥한 진실이’ ‘일생을 버티게 할지도’ 그렇지 않을지도 모른다.

고정희 시인도 생을 떠받들 묵직하고 뜨거운 사랑 한 소절은 가졌나 보다. 못 잊을 사랑 하나 품고서 몇 번의 겨울을 버티었을까. 지상에 없는 그녀는 지금 ‘치자꽃 향기 푸르게 범람하는’ 어느 별에서 이 겨울과 입맞춤할는지. 또 남은 겨울을 버티고 새봄을 맞을지. 눈 내리지 않는 겨울에 겨울비만 추적거린다. 그 사이로 우수어린 눈빛 내 아직 살아갈 날들.



김창원 기자 kcw@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