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향만리…만무방

발행일 2020-02-19 15:49:41 댓글 0 글자 크기 키우기 글자 크기 줄이기 프린트
만무방

~만무방은 ‘염치없이 막돼먹은 사람’~

김유정

…응칠은 뜨내기 만무방이다. 할 일도 없지만 일거리를 찾으려 하지도 않는다. 내키는 대로, 되는 대로 산다. 원래 응칠은 아내와 아들이 있는 농군이었다. 빚잔치 후, 먹고살기 위해 각자도생하고자 뿔뿔이 흩어졌다.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다가 아우 응오를 찾아갔다. 그에게 빌붙자는 의도가 아니라 피붙이가 그리웠던 탓이다. 응오의 마을에 달포가량 머물고 있다. 성실한 농군 응오는 응고개의 다랑이 논을 부쳐 먹고 있다. 벼를 털어 봤자 남는 게 없어 벼 벨 생각을 않고 있다. 그마저 도둑이 들어 벼 포기를 야금야금 잘라 간다. 설상가상 응오의 처는 병이 들어 송장같이 누워있다. 화도 나고 의심도 벗을 겸 응칠은 벼 도둑을 잡기로 결심한다. 밤이 이슥해지자 응칠은 밤을 새울 각오를 하고 응고개로 향했다. 가는 길에 바위틈 굴 안에서 막판에 몰린 만무방들과 노름을 한다. 밤이 깊었다. 응칠은 논두렁이 잘 보이는 곳에 잠복한다. 논둑에 희끄무레한 형상이 어른거린다. 한 사내가 얼굴을 가리고 봇짐을 걸머지고 있다. 몽둥이를 휘둘러 고꾸라트렸다. 놀랍게도 그는 아우 응오였다. 야밤에 자기가 지은 벼를 훔쳐가는 참이었다. 딱한 처지가 참담하다. 응칠은 삐딱하게 대하는 아우를 매타작한다. 응칠은 한숨을 쉬며 아우를 등에 업고 묵묵히 고개를 내려온다.…

만무방은 ‘염치없이 막돼먹은 사람’을 의미한다. 지주와 장리를 놓은 김 참판을 뺀 모든 사람이 다 만무방이다. 만무방이라 하여 본디부터 만무방인 사람은 없다. 작가가 살았던 시대는 암울한 때였다. 앞만 보고 성실하게 살아가는 사람은 만무방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는 사회였다. 지주와 김 참판이 선량한 농민들을 착취하여 만무방으로 전락시킨 장본인이라는 점이 작가의 시각이다. 지주와 김 참판은 악덕한 지배층의 표상이자 진짜 만무방이다. 만무방으로 비치는 사람은 ‘순박한 농군’이다. 그들은 불합리한 구조적 모순의 덫에 빠진 억울한 희생양일 뿐이다.

벼를 베고 탈곡을 해봐야 지주에게 바치고 고리대금업자에게 뜯기고 나면 빈털터리다. 잘 먹고살기는커녕 연명하기조차 힘들다. 피폐한 삶에 허덕이다가 종내에는 ‘만무방’이 되고 만다. 이판사판 노름판에서 일확천금을 노리지만 그럴수록 상황은 더 꼬이기 마련이다. 가족마저 해체된다. 지주가 도지를 감해주고 응오의 소극적 편법을 눈감아준다고 될 문제는 아니다. 개인의 문제라기 보단 시스템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작가도 이 점을 잘 알고 있다. 응칠이 응오를 매타작하는 결말에서 그 점을 얼핏 엿볼 수 있다.

생산에 참여한 자에게 그 기여분에 상응한 보상이 보장되지 않는 한, 이 부조리한 상황을 타개하기 어렵다. 봉건적 계급사회에서는 근본적으로 해소될 수 없는 모순이다. 열심히 일한 사람에게 노력한 만큼 그 보상이 돌아가는 시스템이 도입되어야 한다. 자유롭고 평등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모두에게 평등한 기회가 주어지고 공정한 절차를 거쳐 정의로운 결과가 보장되는 시스템이 뿌리내리기 전에는 그 답을 구하기 어려운 문제다. 사회부조리를 최전선에서 신랄하게 고발했던 문인들이 일찍이 사회주의에 눈을 돌렸던 것은 어쩌면 자연스런 현상이다. 빈부격차가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사회저변에서 부당하게 홀대받고 있는 문화예술인들이 아직도 그 언저리에서 볼멘소리를 하고 있는 것도 결코 우연이 아니다. 사회주의가 그 지향점을 바르게 제시하긴 했지만 정작 자본주의시장경제가 그곳에 더 가까이 다가간 시스템으로 판정받은 역사적 사실은 뜻밖의 반전이다. 오철환(문인)

<저작권자ⓒ 대구·경북 대표지역언론 대구일보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