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재난의 시간을 견디는 지혜

발행일 2020-02-19 15:29:56 댓글 0 글자 크기 키우기 글자 크기 줄이기 프린트
재난의 시간을 견디는 지혜

윤일현

지성교육문화센터이사장

‘코로나19’가 사람들의 생활 패턴에 영향을 주고 있다. 바깥출입이 잦고 외부인을 많이 만나던 사람들도 외출을 자제하고 일찍 귀가한다. 일부 사람들은 평일과 휴일을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종전과는 다른 생활을 하게 된다고 말한다. 어떤 사람은 집에서 TV 보는 시간이 늘어났다고 말하고, 또 일부 사람들은 책 읽는 시간이 많아졌다고도 한다. 각자의 취향에 따라 주어진 시간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겠지만 적지 않은 사람들이 모처럼 독서를 통해 지적인 희열을 맛보게 되어 좋다고 말한다. 주어진 상황을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따라 인간의 행불행은 결정된다. 밀폐와 폐쇄, 유배와 고립, 권태와 단조로움도 거기에 대응하는 사람에 따라 그 시간의 용도와 가치는 달라진다.

페트라르카와 함께 르네상스의 인문주의 토대를 마련한 조반니 보카치오는 속어인 이탈리아어로 쓴 문학 작품을 고대 고전문학의 반열에 들게 한 작가다. 그가 쓴 ‘데카메론’은 1348년 이탈리아를 강타한 페스트가 피렌체까지 이르게 되었을 때 교회 미사에 참석했던 7명의 귀부인이 3명의 신사를 초대하여 전염병이 잠잠해질 때까지 교외의 별장에 은둔하기로 결심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10명의 남녀는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매일 한 가지씩 10일 동안 순번을 정해놓고 이야기를 지어내 도합 100가지 재미있는 이야기를 서로에게 들려준다. 단테의 ‘신곡(神曲)’이 신의 도리를 보여준 작품이라면, ‘데카메론’은 인간의 본능과 악덕, 허위 등을 폭로하는 ‘인곡(人曲)’이라고 일컬어진다. 소설 속 모든 이야기는 자발적인 격리와 단절의 환경 속에서 나왔다.

보름 동안 일찍 집에 들어와 책 읽기에 몰두했다는 지인은 이 자발적 단절의 시간 동안 행복한 삶에 대해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어떤 여성분은 KBS 클래식 FM과 몇 권의 책, 간단하게 먹을 것만 있으면 한 달 정도는 외출 없이도 행복하고 만족한 삶을 살 수 있다고 했다. ‘에피큐리언(Epicurean)'이란 용어가 지금은 향락주의자 또는 쾌락주의자의 의미로 쓰이지만 원래는 그 뜻이 아니다. 그 어원이 된 고대 그리스 철학자 에피쿠로스는 쾌락을 추구하는 철학자였다. 그가 도달한 쾌락의 정점은 만족이라는 이름의 사치였다. 그 사치를 누리는 데는 그렇게 많은 것이 필요하지 않았다. 아담하고 소박한 정원, 거기에 심어진 무화과 몇 그루, 약간의 치즈와 서너 명의 친구로 충분했다. 그는 그것만으로도 충분하게 사치스럽게 살 수 있었다. “사려 깊고 아름답고 정직하게 살지 않고서 즐겁게 살 수는 없다. 반대로 즐겁게 살지 않으면서 사려 깊고 아름답고 정직하게 살 수는 없다. 사려 깊고 아름답고 정직하게 살기 위한 척도를 가지지 않은 사람은 즐겁게 살 수 없다.” 에피쿠로스의 이 말은 사는 것이 너무 고통스럽다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 준다. 에피쿠로스가 추구한 쾌락은 모든 정신적, 육체적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이었다. 순간적이고 육체적인 쾌락을 추구했던 퀴레네 학파와는 달리 에피쿠로스는 지속적이고 정적인 쾌락을 추구했다.‘아타락시아(ataraxia)’란 ‘마음이 동요되지 않고 평안한 상태’를 말한다.

대구에도 코로나 확진자가 계속 나오고 있다. 동선이 공개되고 크고 작은 행사들이 잇달아 취소되고 있다. 보건당국은 개인위생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는 나와 내 가족이 안전하고,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현명한 행동 방침에 대한 생각과 함께 이 폐쇄와 고립의 시간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를 고민하지 않을 수가 없다. 우리 모두는 삶을 마감할 때까지 앞으로도 여러 번 크고 작은 재난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모두가 고통스러운 이런 상황 속에서 우리는 자신의 삶과 생활방식에 대해 다양한 성찰을 하게 된다. 개발독재와 고도 성장기를 거치면서 우리는 너무 외향적이고 떠들썩한 생활에 익숙해져 있다. 이제 내 가정, 가까이 있는 이웃, 친지를 중심으로 소박하게 사는 삶의 중요성을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한다. 작지만 확실한 행복인 ‘소확행’의 추구와 지적인 삶, 외양의 화려함보다는 내면의 깊이를 탐색해 본다면 이 움츠림과 위축의 시간도 나름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대구·경북 대표지역언론 대구일보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