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대구·경북이 처참하게 무너지고 있다. 코로나 직격탄을 맞은 대구·경북은 만신창이가 됐다. 시민 생활은 엉망이 됐고 지역 경제는 멈춰 섰다. 자영업자와 일용직 근로자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 분야는 숨이 간당간당한다. 이런 상황이 50일 넘게 계속되면서 곳곳에서 죽겠다는 비명이 터져 나온다. 더 이상 버틸 여력도 없단다.

대구·경북은 이번 코로나19의 최대 피해 지역이다. 수치로도 나타난다. 대구경북연구원에 따르면 대구지역 서비스업 매출이 30% 가까이 줄었다. 경북도 20% 가량 매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에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11일 정부에 대구·경북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줄 것을 건의했다. 코로나 직격탄을 맞아 기로에 선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에 대한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고 판단한 때문이다.

상황이 심상치 않자 정부도 긴급 추경을 편성, 지원에 나섰다. 국회는 힘을 더 보탰다. 정부 여당이 마련한 당초 안보다 54%가량 늘어난 18조202억 원의 추경안을 마련, 예결위에 넘겼다.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국난 극복과 취약계층 등을 위한 긴급 생계자금과 영세사업자 지원을 위해서다.

이와 함께 정치권에서 재난 기본소득을 지급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한시적으로 국민 전체나 취약계층에게 1인당 50만∼100만 원의 재난 기본소득을 지급하자는 것이다. 황교안 통합당 대표도 지난 2일 재난 기본소득 정도의 과감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지원과 도움은 많을수록 좋다. 재난기본소득 뿐만 아니라 가능하다면 모든 조치를 총동원해야 한다. 지금은 준 전시상황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다행히 지역에서 코로나19의 확장세가 주춤하는 모양새다. 하지만 콜 센터, 노인 요양시설 등 다중시설로 옮겨가는 양상을 보여 온전히 마음 놓을 수는 없다. 만약 이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지역 경제의 피해는 상상을 극할 것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 1차, 2차, 3차 등 단계별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에 앞서 정부와 지자체는 급한 불부터 먼저 꺼야 한다.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하루라도 빨리 대구·경북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해야 한다.

이와 함께 경제계 등 각계에서 내 놓은 코로나19 성금과 지원금의 지급도 더 이상 늦춰서는 곤란하다. 기다리는 사이 자영업자들은 회생 불능 상태에 빠질 수도 있다. 물 들어올 때 배를 저어야 한다. 혹여 발생할 수 있는 법적인 문제 등은 유례없는 상황에 맞춰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 더 이상 머뭇거릴 때가 아니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