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18일 대구에서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불과 한 달여 만에 지역 경제가 초토화됐다. 영세 자영업자들을 중심으로 “병들어 죽기 전에 굶어 죽겠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유동인구 격감에 따라 모든 경제활동이 올스톱 되다시피 했다. 사태 종식의 시기마저 점치기 어려운 실정이다.

코로나 사태로 금년 5월까지 대구경북 지역내총생산(GRDP) 감소액이 9조 원을 넘어갈 것이라는 대구경북연구원의 전망이 나왔다. 서비스업과 제조업 동반부진으로 대구는 2조4천억 원, 경북은 6조9천억 원이 감소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는 지난해 지역 GRDP의 5.8%에 해당한다. 지역경제가 IMF 외환위기 이후 첫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영세 자영업자들은 코로나 발생 이전에도 경기침체 장기화로 많이 어려웠지만 이번 사태로 직격탄을 맞았다.

일부 업종의 경우 하루 종일 매출이 제로에 가까운 곳이 많다고 한다. 마냥 쉴 수만은 없어 점포 문을 열어 보지만 손님이 없어 휴업과 영업재개를 반복하는 것이 일상이 됐다. 폐업 위기에 내몰리는 경우도 늘고 있다. 학습지 방문교사, 보험설계사 등 특수형태 노동자들도 수입이 격감해 생계 유지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역 경제의 또 다른 축인 차부품 업계는 가동률이 60% 수준에 불과하다. 영업 이익도 격감하고 있다. 세계적 시장 침체에다 코로나 사태로 국내외 수요감소가 더해지면서 상황은 악화되는 모양새다. 부품 업계는 완성차 업계와 경기 리듬이 같다. 구조조정을 고민하는 업체도 늘고 있다.

대구는 코로나 방역과 경제회생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 그러나 이 두가지 목표는 하나를 선택하면 다른 하나가 나빠지는 관계로 맞물려 있다.

지금은 방역이 우선이다. 아직 요양병원 등 취약계층 집단발병 가능성이 높은 시한폭탄과 같은 시설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

방역 우선에 따른 영세 자영업자의 손실과 아르바이트·일용직 근로자 등 비고정 급여 생활자들의 긴급생계비 지원에 지자체와 정부가 나서는 것은 당연하다.

대구시는 자체 예산 구조조정으로 마련한 긴급 생계자금 2천억 원을 지원심의위원회를 거쳐 다음 달 일용직 근로자, 택시기사, 식당 종업원 등에 우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대상자들은 하루가 급하다. 대구시는 실제 지원에 앞서 분야별 지원 기준과 금액 등 구체적 계획만이라도 조속히 밝히기 바란다.

아울러 최근 국회를 통과한 정부 추경안 중 지자체 재량으로 쓸 수 있는 4천억 원을 신속히 확보해 자영업자, 중소 상공인에 대한 지원도 서둘러야 한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