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 기행 (62) 칠처가람(3) 분황사

발행일 2020-05-11 09:09:41 댓글 0 글자 크기 키우기 글자 크기 줄이기 프린트

황룡사는 왕실 중심, 분황사는 서민을 위한 사찰로 신라 최고의 양대사찰

경주시 구황동, 보문단지로 가는 도로변에 위치한 분황사가 천년 전의 이름 그대로 지금까지 불법(佛法)을 이어오고 있다.
경주 분황사는 황룡사와 이웃해 있으면서 신라시대 대표적인 사찰의 하나로 손꼽힌다. 분황사는 선덕여왕이 634년에 건립해 자장, 원효와 같은 고승들이 주석했던 유명 사찰이다.

황룡사가 왕실 중심의 귀족불교였다면 분황사는 서민들을 위한 불법을 실천했던 대중불교의 산실이었다는 차이점을 들 수 있다.

칠처가람 중의 하나로 손꼽힐 만큼 분황사에서도 불법(佛法)이 왕성하게 일어났다. 원효가 많은 저술활동을 펼쳤고, 약사여래입상, 모전석탑, 화쟁국사비편, 삼룡변어정 우물 등의 유적이 천 년이 지난 지금까지 남아있다.

설총과 고개를 돌렸다는 원효의 소상 이야기, 원성왕이 당나라 사신들에게서 되찾아 온 분황사의 용에 대한 전설, 도천수대비가를 낳은 기적 같은 영험의 이야기도 분황사를 다시 돌아보게 한다.

국보 제30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는 분황사의 모전석탑. 안산암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 올린 특이한 형태의 석탑이다. 처음에는 7층이나 9층으로 조성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의 불교 칠처가람, 분황사

선덕여왕 3년인 634년에 황룡사와 담장을 사이에 두고 북쪽에 분황사가 건립됐다.

자장이 당나라에서 대장경과 불전을 장식하는 물건들을 가지고 돌아오자 선덕여왕은 분황사에 주석하게 했다. 이어 원효가 분황사에 머물면서 화엄경소, 금광명경소 등의 100여 권에 이르는 책을 썼다.

경덕왕 당시에 조성해 봉양했던 30만6천700근에 이르는 약사여래입상, 솔거가 그린 관음보살상 벽화 등은 몽골의 침략과 임진왜란 등으로 유실됐다.

분황사에는 안산암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 올린 모전석탑이 남아 있다. 분황사 창건 당시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임진왜란 때에 파괴됐지만 조선시대에 수리하려다 오히려 더욱 파손되었는데 1915년에 다시 수리했다. 지금은 3층으로 남아 있지만 조성 당시에는 7층 또는 9층으로 추정된다.

높이 3.5m에 이르는 분황사의 약사여래입상은 왼손에 건칠제 약그릇을 들고 있다. 이 그릇에 조선시대 영조 50년 1774년에 제작되었다는 붉은 글씨가 있다. 경북문화재자료 제319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입상의 좌대는 앞에서는 보이지 않게 가려져있는데 팔부신중상이 새겨진 신라시대 탑신석으로 보이는 석재로 되어 있다.
석탑의 기단에 배치된 수호상도 이색적이다. 내륙을 향한 곳에는 사자상, 동해 방향에는 물개를 힘이 넘치는 역동적인 조각상으로 세워두고 있다.

석탑의 면마다 감실을 설치하고 금강역사 2구씩을 새겨 수호신으로 세웠다. 분황사 모전석탑은 국보 제30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분황사에는 신라시대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돌우물이 있다. 이 우물의 외형은 팔각형으로 다듬어져 있고, 내부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불법에서의 팔정도를 상징하는 우물로 원불의 진리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전설에 따르면 이 우물에 용이 살고 있었다. 원성왕 11년인 795년 당나라의 사신이 이 우물 속의 용을 물고기로 변하게 하여 병에 넣어 가져가는 것을 원성왕이 사람을 시켜 빼앗아왔다고 한다. 이후부터 분황사의 우물을 삼룡변어정이라 부른다.

분황사 우물 동편에는 고려시대 조성한 원효의 화쟁국사비를 세웠던 화쟁국사비의 좌대가 남아 있다. 비석좌대에는 조선시대 김정희가 쓴 ‘차신라화쟁국사지비적(此新羅和諍國師之碑蹟)’이라는 글씨가 희미하게 남아 있다.

분황사 약사여래입상을 안치하고 있어 약사전으로도 불리는 보광전.
◆새로 쓰는 삼국유사: 분황사와 원효

원효의 아명은 서당이다. 태어나면서부터 남다른 신체적 발달과 성숙한 지혜로 주변 어른들이 깜짝깜짝 놀랄 행동을 보였다. 활달한 성격으로 무예 연마하기를 좋아하는 한편 책 읽기를 좋아했다.

일찍 화랑도가 되어 천하를 떠돌며 수련하면서 심신을 단련했다. 김유신의 귀신 같은 몸놀림과 칼의 춤을 본 이후로 무예수업에 심취하기도 했다.

그러나 천하를 주유하면서 갑작스런 어머니의 죽음을 접하고, 불교에 천착하게 됐다. 불교에 귀의하면서 스스로 법명을 원효라 짓고 불교적 사상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국내에서 서적을 섭렵하고, 삶과 죽음에 대한 깊은 생각에 빠져 당의 앞선 지식을 배우며 불법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결국 의상과 함께 당나라로 유학을 떠났다. 요동에 이르렀을 때 고구려 군사에게 첩자로 오인 붙잡혀 신라로 돌아와야 했다.

혜공 등의 선사들에게서 불법을 익히면서 또 한계를 느껴 의상과 다시 당나라로의 유학길에 올랐다. 그러나 당항성에서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렸다. 불법은 밖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라 안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라 깨닫고는 혼자 신라로 되돌아왔다.

분황사에서 100여종 240여 권의 책을 집필한 것으로 전해지는 원효대사의 초상이 보광전에 걸려있다.
유학길에서 돌아온 원효는 마음이 급해졌다. 당시 귀족중심의 왕실불교가 면면히 이어지고 있었지만 원효는 온 백성들에게 불법을 전해야 한다는 생각에 그 방법을 찾는 고민에 빠졌던 것이다.

이때 진덕여왕 승만이 원효의 그릇이 한없이 크다는 것을 전해 듣고는 황룡사에 주석하게 하고, 수시로 황룡사에서 원효의 강론에 참여했다.

원효의 거침없는 달변과 그의 훤칠한 외모에 진덕여왕은 점점 인간적인 감정에 빠져들었다. 진덕여왕과 함께 강론을 듣던 요석 또한 원효의 깊은 눈동자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마음을 주체하기 힘들어하면서도 때론 그것에 매달리곤 했다.

원성왕 때에 당나라 사신이 분황사 우물에 사는 호국룡을 물고기로 변하게 해 잡아간다는 소식을 접하고, 왕이 사람을 시켜 다시 찾아와 분황사 우물에 넣어주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신라시대 우물.
진덕여왕은 원효의 강의와 인간적인 매력에 푹 빠져 황룡사 나들이를 자주하는 한편 수시로 원효를 궁으로 불러들여 국사에 대한 고견을 청취하기도 했다.

진덕여왕이 말년에 이르러 원효에게 국사를 운영하는 어려움과 인간적인 고뇌를 털어놓으며 곁에 머물러 주기를 당부했다. “혼자 걷는 길은 너무나 멀고 힘들게 느껴지네요. 가까이에서 손잡고 이끌어 주시길 감히 청하옵니다”며 승만은 직접적인 고백을 털어놓았다.

원효는 한동안 말없이 가만히 여왕을 응시하다가 “이 몸은 이미 불법에 귀의한 처지라 한 곳에 마음을 둘 수 없다 할 것입니다. 사람의 마음은 특별한 하나의 존재에 미치기도 하지만 결국 만물에 머무는 근원으로 돌아가게 됩니다”라며 조용히 왕실을 벗어났다.

분황사에 주석하며 많은 책을 저술한 동방의 성인이지만 비석이나 시호가 없어 안타깝다며 고려 숙종이 원효에게 대성화쟁국사라는 시호를 내려 분황사에 대성화쟁국사비가 건립됐다. 지금은 김정희가 쓴 ‘차신라화쟁국사지비적’이라는 글씨가 남은 비석좌대가 남아 있다.
원효는 궁에서 나와 주석하던 황룡사 금당에서 사흘간 아무도 만나지 않고, 곡기를 끊은 채 오로지 염불만 외다 달이 이끄는 길을 따라 사라져버렸다.

진덕여왕은 원효가 황룡사를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 백방으로 수소문해 그를 찾았지만 허사였다. 여왕은 죽음에 이를 때까지 끝내 원효를 다시 대면하지 못했다.

깊은 산 속에서 도를 구하다, 나라의 곳곳을 다니며 걸식하며 불법을 전하기도 하고, 공부를 이어가던 원효는 진덕여왕의 승하 소식을 접하고는 다시 서라벌로 돌아왔다.

김춘추가 무열왕으로 즉위하고, 요석궁에 과부가 된 공주가 머물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린 원효는 불법을 온 백성들에게 전파할 방안을 모색했다.

원효는 걸인의 행색으로 서라벌 거리를 떠돌며 무애춤을 추고 다녔다. 아이들과는 “누가 나에게 자루 없는 도끼를 준다면, 하늘을 떠받칠 기둥을 세울 텐데”라는 노래를 불러 궁궐에까지 들리게 했다.

분황사 곳곳에 신라시대 유적을 짐작하게 하는 석등, 기초석, 석탑의 몸돌 등의 석재들이 쌓여 있다.
당시 무열왕은 백제를 정벌해 사위와 딸의 원수를 갚고, 고구려를 쳐 삼국통일을 이룩하려면 먼저 국민들의 여론을 하나로 묶고, 나라의 방향을 전달하는 이념의 통일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하며 인재를 구하고 있었다. 이때 노래를 들은 왕은 원효의 마음을 알아차리고 그를 요석궁으로 불러들여 딸과 인연을 맺어 주었다.

원효는 요석과의 해후를 통해 설총을 낳고, 궁궐의 든든한 후원에 힘입어 분황사에서 세상을 구할 이론을 하나로 엮어 책을 쓰는 일에 열중했다. “존재의 특별함은 있다. 또 없다. 마음의 근원을 따라가면 만물은 평등하다는 것을 깨우칠 수 있다. 차별 없이 자비의 마음을 가진다면 누구나 큰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될 수 있다”고 강조해 백성들이 모두 부처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품게 되었다.

원효대사가 분황사에서 대중불교의 불씨를 지핀 것이다.

*새로 쓰는 삼국유사는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 픽션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역사적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강시일 기자 kangsy@idaegu.com
<저작권자ⓒ 대구·경북 대표지역언론 대구일보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