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혈장 치료제 개발에 탄력이 붙고 있다. 혈장 치료제는 완치자 혈액에서 추출한 혈장 속 중화 항체를 농축해 생산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GC녹십자와 국립보건연구원이 연내 확진자 치료에 사용한다는 목표로 개발 중이다.

혈장 치료제 개발을 위해서는 임상실험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130~200명 정도의 혈장이 우선 필요하다.

지난달 28일 질병관리본부가 혈액기증 모집 공고를 낸 이후 17일까지 제공의사를 밝힌 사람은 전국적으로 123명(공식 집계)이다. 녹십자 관계자는 이 중 대구·경북 지역 의료기관에 등록한 사람이 80%가 넘는 100여 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또 지역의 통계로는 이날까지 계명대동산병원 52명, 경북대병원 40여 명, 파티마병원 50명 등 140여 명의 완치자가 혈장제공 의사를 밝혔다. 공식 통계와 차이나는 것은 일일명부 작성, 전산처리 시점 등 때문으로 추정된다.

지역의 혈장 제공자가 전국에서 가장 많다. 이들만으로도 혈장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최소 인원인 130명이 넘는다.

17일 기준 대구·경북의 완치자는 전국의 74.1%인 7천984명이다. 정확한 분석은 조금 더 기다려야 하겠지만 지역에서 혈장 제공의사를 밝힌 사람의 비율은 완치자 비율보다 훨신 많다.

완치 후 헌혈에 선뜻 나서기는 쉽지 않다. 입원과 치료 과정에서 기력 소모가 많은데다 심리적으로도 크게 위축된 상태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구·경북민이 가장 많이 나섰다. 어려울 때 이웃을 도와야 한다는 시민정신이 돋보인다. 코로나19로 우리가 힘들 때 전국 각지에서 도와준 성원에 보답하는 마음도 작용했을 것이다. 대구·경북의 자존심을 높여준 아름다운 시민정신이 아닐 수 없다.

혈장 제공을 할 수 있는 전국 4개 병원 중 3개가 지역에 있는 것도 요인일 수 있다. 그러나 헌혈차가 가까이 있다고 모두 헌혈에 참여하는 것은 아니지 않는가.

혈장 제공은 만18세 이상, 65세 미만이면서 완치 후 14일이 지나야 가능하다. 참여하려면 병원을 2회 방문해야 한다. 첫 방문에서 각종 감염성 질환이 없고 코로나19 중화 항체가 있다는 판단을 받아야 한다. 7일 후 두번째 방문 때 혈장성분(500㎖) 헌혈을 하게 된다. 혈장 공여를 희망하는 완치자는 대구의 3개 병원이나 경기도 안산의 고대안산병원을 찾아가면 된다.

그러나 과제는 이제부터다. 임상실험을 거친 뒤 혈장 치료제를 본격 생산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혈장이 필요하다. 완치자들의 헌혈이 지속적으로 있어야 한다.

녹십자는 혈장 치료제가 개발되면 국내 환자들에게 전면 무상제공하겠다고 나섰다. 향후 혈장 치료제 대량 생산에도 대구·경북이 앞장섰으면 좋겠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