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교육연수원에 위치한 교육권보호센터는 교권 존중과 학생 인권의 상생 문화 조성을 위해 마련됐다.
▲ 대구교육연수원에 위치한 교육권보호센터는 교권 존중과 학생 인권의 상생 문화 조성을 위해 마련됐다.
대구시교육청(교육감 강은희)이 전국에서는 처음으로 교육권보호센터(이하 센터)를 운영해 오고 있다. 센터는 교권 존중과 학생 인권의 상생 문화 조성을 위해 마련됐다.

교사들은 지난 수년 간 교권이 추락한 것에 대해 일부 교사들은 “교사의 지위가 추락해 사실상 학생 생활지도 체계가 무너지고 있다”, “백년대계를 책임질 교육자의 사명감은커녕 내가 왜 교사가 됐는지 후회막급이다”고 할 정도로 절박한 실정을 털어놓고 있다.

이는 교원의 명예신청으로 이어져 한국교총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서 지난해 초 명예퇴직을 신청한 교원은 6천39명에 달했다. 이는 지난 2017년3천652명에서 2천400여 명 늘어난 추세다. 명예 신청한 교사들의 절반 이상은 ‘교권 하락 및 생활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대응 미흡’을 꼽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시교육청은 센터를 통해 교육현장 법률·행정·심리치유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다.

대구교육연수원은 방문 교원의 심리적 안정에 힘을 쏟는 동시에 행정적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구교육연수원 사도관 1층에 자리한 센터는 방문자의 심리적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편백나무를 이용한 친환경 인테리어와 명상용 의자 등을 갖췄 이곳을 찾는 교원의 심리적 안정감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또 개인상담실과 치유회복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집단상담실, 법률·행정 지원을 위한 사무실을 갖춰 심리적 안정과 치유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센터는 교육현장에서 발생하는 갈등 상황에 법률·행정적인 원스톱 지원으로 교육권이 부당하게 침해당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으며 피해 교원이나 학생의 정상적인 교육활동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교육권 관련 사안 갈등 조정 △교육활동 관련 분쟁에 따른 심리상담 및 치유 △교원의 교육활동 안정성 담보를 위한 교원배상책임보험 가입 △교육활동 침해 및 사생활 노출 방지를 위한 교원안심번호서비스 시행 △교원의 안정적인 정신건강 유지를 위한 맞춤형 온라인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병원·전문상담위원 연계 및 비용 지원 △찾아가는 교권보호 법률자문과 컨설팅·연수 등을 통해 교육권 보호를 위한 예방교육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비대면 실시간 쌍방향 플랫폼인 ZOOM을 활용해 온라인 심리상담 프로그램도 병행해 불안전한 개학에 따른 교원의 심리 상담 수요를 충족하고 있다.

센터에서는 교육활동 침해 및 교직스트레스에 해소를 위한 일회성 회복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교육현장 사후복귀 지원을 위한 집단(추수)상담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

또 △마음챙김 명상 △원예치료 △만다라 미술치료 등 추수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방문자의 성향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굴해 정신건강증진 및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향상 시켜 원활히 교육현장에 복귀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교육권보호센터는 전·현직교원, 퇴직경찰관, 전문상담사 등 25명으로 구성된 교육권보호지원단을 구성하고 위원들이 가진 다양한 경력과 경험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교육권보호지원단은 교육현장의 갈등 사안을 초기 단계부터 접근해 문제 해결을 위해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학교단위로 찾아가는 교권강화 컨설팅과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현장과 밀착된 맞춤형 교육권보호 전담 기구로 역할을 다 하고 있다.

또 화해분쟁조정을 위한 체험 중심의 연수를 통해 교육권보호지원단의 회복적 조정 역량 전문성을 강화했다. 학교 폭력 피·가해 학생 및 학부모 간의 관계 갈등 상황을 해소하고 관계회복을 위한 화해·조정역할을 할 예정이며, 사례나 주제 중심의 워크숍을 통한 교육권보호를 위한 인식 개선과 사안 대처 역량강화에도 지속적으로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교권침해로 상처받은 교원 및 학생들의 인권과 학습권을 존중하며 교원들이 교권침해의 불안에서 벗어나 더욱 적극적인 교육활동을 수행해 학생과 학부모가 만족하는 대구교육, 미래를 배우고 함께 성장하는 대구교육을 실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원 기자 kcw@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