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에 코로나19 재확산 쓰나미로 일자리를 찾지 못한 젊은이들이 공공근로에 몰리고 있다는 서글픈 소식이다. 장기 경기 침체에다 정부의 반 기업적 정책에 코로나19라는 전대미문의 사태까지 3중으로 악재가 겹친 탓이다. 가뜩이나 일자리가 부족한 지역이다 보니 그나마 쉽게 접할 수 있는 공공근로에 발길을 돌리고 있는 모양새다. 그만큼 지역 고용시장이 불안하다는 방증이다.

대구시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이달부터 ‘대구형 희망일자리’ 사업을 시작했다. 1만6천685명을 뽑는데 2만4천528명이 지원했다. 경쟁률이 1.3대 1이다. 이중 청년층(만 18~39세)이 6천11명으로 전체의 25%를 차지했다고 한다. 대구지역 청년층 공공근로 지원자 수로는 역대 최대치다. 기존에 대구시가 운영하던 ‘대구형 디딤돌 일자리’ 1차 사업 때는 청년층 지원자가 689명에 그쳤는데 그 사이 9배 가까이 늘어났다.

희망일자리 참여자들은 정보화 추진 사업과 서비스 지원 사업, 환경정화 사업, 안전사고 예방사업 등 분야에서 일하게 된다. 공공근로는 지자체가 고령층과 저소득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해 최소한의 생계를 돕는 복지정책의 일환으로 벌이는 사업이다. 목적이 임금 살포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 자체도 단순 반복적 업무에 불과하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노년층이 주 대상이었다. 젊은이들은 아예 생각지도 않았던 일자리다. 그런데 청년들이 일할 수 있는 마땅한 자리가 없다 보니 공공근로에 몰리고 있다. 이마저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라고 한다.

동북지방통계청의 취업자 통계에서도 지역 일자리 상황을 잘 알 수 있다. 올 2분기 대구·경북의 취업자 수는 257만6천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8만7천400명 감소했다. 이 기간 실업자 수는 12만6천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천500명 이상 늘었다. 이렇게 기업의 채용이 줄다 보니 구직자들이 공공 일자리로 몰리고 있는 것이다.

최저시급 인상, 주 52시간 근무 등 경제 상황이 악화된 데다 코로나19까지 덮치면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지역 젊은이들이 지자체의 공공 근로를 찾는 비정상적 상황이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이대로 둘 수는 없다. 물론 지역 경제가 살아나고 코로나19 상황 종료가 전제돼야 하지만 말이다. 이 모든 것에 앞서 대구시는 청년들이 공공근로에 몰리는 상황 만은 개선해야 한다. 지역 고용 시장 상황을 헤아려 청년층에 좀 더 창의적인 일자리를 마련해 줘야 한다. 이와 함께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기업의 고용 의욕을 북돋워 줘야 할 것이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