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 생활권에서 분리된 시·도 단위 광역자치단체를 통합하자는 움직임이 비수도권 지역에서 잇따르고 있다. 지난해 말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대구·경북 통합론을 제시한 이후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흐름이다. 대구·경북의 선도적 역할과 함께 과 타 시·도와의 공동 보조 등 대응전략이 요구된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최근 개최된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대비 광주 대응전략 토론회’에서 “광주·전남의 행정통합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광주·전남이 따로 가면 완결성도, 경쟁력도 확보하기 어렵다”며 “미래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행정통합은 필수적 과제”라고 역설했다.

그는 또 “대구와 경북이 ‘대구경북 특별자치도’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남도도 통합에 찬성한다는 공식 입장문을 발표해 광주·전남 통합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앞서 허태정 대전시장도 인접한 세종시에 통합논의를 제안했다. 허 시장은 지난 7월 교통, 경제, 문화 통합을 비롯해 대전과 세종이 하나로 가는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만간 대전·충남도 대구·경북과 광주·전남의 움직임을 보면서 통합 논의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광역 지자체 통합 움직임은 부산·울산·경남 지역에서도 구체화되고 있다. 메가시티 출범이 목표다. 부·울·경을 인구 800만 명의 광역경제권이자 생활권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부·울·경이 행정통합을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부산시는 14일 ‘동남권 발전계획수립 공동연구 1차 보고회’를 개최했다. 메가시티의 당위성, 기본 구상, 실행 계획 등이 제시된 이날 보고회에는 부·울·경 3개 시도 부시장·부지사 등이 참석했다.

대구·경북 통합은 미래발전 전략이다. 지역이 살아남기 위한 새로운 선택이다. 전국 광역 지자체 통합의 모델이기도 하다.

하지만 주민투표, 특별법 제정, 통합 도청 소재지 등 넘어야 할 산이 한둘이 아니다. 무엇보다 시·도민 공감대 형성이 우선이다. 시행착오가 없도록 다양한 여론을 수렴해야 한다. 그런 차원에서 최근 민간 차원의 논의가 활기를 띠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지난 주 대구경북연구원에서 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 실무회의가 열렸다. 통합 시점, 주민투표 등과 관련한 논의가 있었다고 한다. ‘다시 뛰자 범도민 추진위’ 등 지역 200여 개 민간단체들이 논의에 나선 것도 고무적이다.

대구·경북 행정통합이 코로나 사태 이후 나타날 국가 간, 지역 간 무한 경쟁에 맞서 지역의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