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흉은 흉막강 안에 공기가 차 있는 경우를 이야기한다.

◆몸 안에서 공기가 샌다?

흉막강은 흉수가 존재하는 공간으로, 여기에 공기가 있다면 가슴 안 어디서인가 공기가 샜다는 것이다.

이때 공기가 샐 수 있는 대표적인 장기가 바로 폐이다.

물론 식도나 기관지의 손상이 발생해도 기흉이 생길 수 있으며, 흉벽을 통해 외부에서 공기가 들어오는 경우에도 발병 소지가 있다.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는 기흉은 구멍이 생기는 원인에 따라 자발성과 외상성 그리고 의인성으로 나뉜다.

자발성이라는 것은 어떠한 외부 요인 없이 저절로 폐에 구멍이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반면 외상성은 교통사고 등으로 폐 내 압력이 상승해 구멍이 생기거나 갈비뼈가 부러지면서 폐를 찢는 상태다.

의인성은 의료진이 통증 주사나 중심정맥혈관주사 등의 시술 과정에서 바늘이 폐에 구멍을 만드는 경우이다.

이중 자발성 기흉은 일차성 기흉과 이차성 기흉으로 나뉜다.

일차성 기흉은 질환이 없는 폐에서 특별한 이유 없이 구멍이 생기는 현상으로, 폐측 흉막의 공기주머니인 폐기포의 막이 얇고 약하기 때문에 생긴다.

주로 젊은 연령(10~20대)에서 발생하고 남자에게서 잘 나타난다.

폐기포가 있다고 하면 환자들은 내 폐가 약해져서 나중에 나쁜 병에 걸리는 것이 아닌가 걱정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폐기포는 전체 폐에서 극히 일부분에 속하며 나머지 대부분의 폐는 정상적인 폐실질을 가지고 있다.

폐에 폐기포가 생기는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가설이 있다.

그중 가장 합리적으로 분류되는 가설은 폐 내 압력이 폐의 위치에 따라 다르고 사춘기 성장 과정에서 흉벽의 성장 속도와 폐의 성장 속도 간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폐의 꼭대기 부분이 흉강과 폐 사이 압력차가 가장 크고 이로 인해 폐기포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압력 차에 의해서 발생한 폐기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더 생기거나 커지고 그 과정 중 자발적으로 터지게 된다.

폐기포가 터짐으로써 폐 내 공기가 흉강으로 새게 돼 기흉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차성 기흉은 일차성 기흉과 다르게 폐 자체에 질환이 있는 경우이다.

즉 건강한 폐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성폐쇄성폐 질환, 폐기종, 결핵, 기관지 확장증, 폐암 등 폐에 이미 질환이 있는데 그 질환으로 인해 폐측 흉막이 약해져서 터지는 경우이다.

때문에 이 경우에는 호발 연령이 50~60대이며 흡연력과 관련이 있고 남성에서 많이 발생한다.



◆수술해도 최대 70% 재발, 반드시 금연해야





기흉이 발생하면 환자는 갑작스러운 흉부 통증, 호흡 곤란, 흉부 불편감 및 답답함을 호소하게 된다.

숨을 내쉴 때마다 구멍이 난 부위로 공기가 점차 새기 때문에 한정된 가슴 공간 안에서 새어 나온 공기는 폐를 압박해 바람 빠진 풍선같이 폐를 찌그러트린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면 폐는 완전히 압박돼 작아지고 이후 새어 나온 공기가 심장까지 누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긴장성 기흉이라고 부르고 기흉 환자에게서 아주 위급한 상황이다.

또 일차성 기흉과 이차성 기흉의 재발 가능성은 큰 차이가 난다.

수술하지 않고 자연히 나은 경우 다시 기흉이 발생할 가능성이 일차성 기흉에서는 30~50%, 이차성 기흉의 경우 60~70%에 이른다.

수술을 시행하더라도 5~10% 정도의 재발률이 있다.

자연히 아문 경우에는 폐기포가 남아 있기 때문에 다시 터질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수술로 폐기포를 절제해도 재발 우려가 있다.

이는 일차성 기흉에서는 폐기포가 새롭게 생성되기 때문이며, 이차성 기흉에서는 가지고 있는 폐질환이 계속 진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폐기포를 악화시키는 요인의 제거가 꼭 필요하다.

바로 금연이다.

흡연을 하면 담배 연기가 폐포 내의 모세혈관을 수축시키고 세기관지 내에 만성 염증을 유발해 폐기포가 점차 증가하고 커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때문에 흡연자의 경우 꼭 금연을 해야 재발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그 외에 흉강 내 압력이 급속히 변화하는 환경을 피해야 하는데, 스카이다이빙이나 물속 깊이 들어가는 스쿠버다이빙 같은 레저 활동은 기압의 변화가 빠르게 이뤄지므로 폐기포가 터질 가능성이 높다.

마찬가지로 공군 비행기는 기체 압력이 크게 변화하므로 기흉 환자는 조종사를 직업으로 가질 수 없으나, 일반 비행기의 경우 압력을 꾸준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탑승객으로는 문제가 없다.





도움말=한양대학교병원 흉부외과 장효준 교수(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소식)











이동률 기자 leedr@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