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취수원 갈등은 상류에 있는 구미와 하류에 있는 대구가 상생 차원에서 풀어나가는 것이 원칙이다. 낙동강 수자원을 같이 쓰고 있기 때문이다. 어느 한쪽의 일방적 양보만 요구해서도 안 되지만 무조건 안 된다는 대응도 곤란하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 7일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 활용과 관련 가변식 취수방안을 제안했다. 해평취수장을 함께 사용하되 평상시, 갈수기, 비상상황 발생 시 등으로 구분해 취수량을 하루 0~50만t으로 조정하자는 것이다.

평상시에는 대구지역 수요의 절반이 조금 넘는 30만t을 생산해 사용하고, 극심한 가뭄 등 갈수기에는 취수를 전혀 하지 않는 방안이다. 또 구미산단발 수질 오염사고가 발생하면 한시적으로 50만t을 취수하는 비상 대책도 담고 있다.

권 시장의 이번 제안은 30만t을 취수해도 물부족 현상이 없다는 환경부의 용역결과에 대해 구미시가 부정적 입장을 내보이자 나온 보완책이다. 구미지역의 수자원 고갈에 대한 우려를 보완하고, 대구의 수돗물 불안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유연한 방안으로 평가된다.

이번 방안은 구미지역 일부 시민단체에서도 제안한 바 있지만 향후 협의 과정에서 이견이 나올 수도 있다. 낙동강 물 문제는 양 지역 모두 민감한 사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생정신을 바탕에 깔고 다듬으면 서로 받아 들일 수 있는 방안이 도출될 수 있다고 본다.

구미시는 이번 제안을 검토한 뒤 보완할 사항이 있으면 요구하고 더 효율적인 새로운 방안이 있으면 제시해야 한다.

양 지역 간 수자원 공동 이용에 따른 보상문제도 구체화되고 있다. 대구가 물 사용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는 것은 당연하다. 구미 주민들은 상수원 보호구역 확대로 재산권이 침해되고, 유량 감소로 인한 용수부족, 수질규제 강화 등이 우려된다고 주장한다.

현재 환경부와 대구시, 경북도, 구미시는 취수장 공동활용 시 구미에 연간 100억 원의 상생기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협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대구시는 1조 원 규모의 구미지역 국책사업 지원 방안을 환경부, 경북도와 협의 중이다.

대구는 1991년 구미산단 페놀 유출 이후 9차례에 걸쳐 발생한 낙동강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로 오랫동안 고통을 받아왔다. 대구와 구미의 물문제 갈등은 이번 기회에 해결돼야 한다. 대구시의 제안에 구미시의 전향적 검토가 있길 바란다.

두 지역 간 물문제 해결은 행정통합 추진과 통합신공항 건설 등 대구·경북의 새로운 상생 움직임에 힘을 실어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