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행정통합과 관련, 지역 일각에서 일고 있는 대구시와 경북도의 청사 이전 논란을 시장과 도지사가 잠재우기에 나섰다. 시·도 행정통합 발표 후 계속된 청사 이전과 공무원 인사 불이익 등 여러 논란에 대해 시도지사가 해명에 나선 것. 반대 분위기를 가라앉히고 통합 작업에 속도를 내려는 의도다.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 3일 한 토론회에 참석해 대구·경북 행정통합이 된다고 해도 대구와 안동 두 청사는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확약했다.

권 시장과 이 지사는 행정통합에 대한 일각의 우려를 의식한 듯 “시·도민의 마음을 모으는 일이 우선되어야 하며 최종 선택은 시·도민이 결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시·도민의 이해를 구하고 협조를 얻는 것이 선결과제가 됐다.

권 시장은 행정통합은 가보지 못한 길에 대한 두려움, 지역적 이해관계, 재정과 행정적 축소에 대한 우려 등 3대 장벽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를 극복하는 것이 행정통합의 요체다. 행정통합추진위를 중심으로 쟁점에 대한 빠른 공론화, 공감대 형성, 중앙정부와 국회의 지지와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것이 순조롭게 추진돼야 양 시·도가 목표했던 2022년 7월의 대구·경북특별광역시도의 출범이 가능할 것이다.

좋은 소식도 있다. 광주시와 전남도가 지난 2일 행정통합을 선언, 대구·경북 행정통합도 힘을 받게 됐다.

대구경실련은 3일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가 행정통합에 정치적 생명을 걸라고 압박했다. 정치적 의도를 의심한 것이다. 지역민들의 공감대도 폭넓게 형성되지 않았다. 공론화가 시급하다. 통합 추진 일정도 재조정할 필요성이 없는지 살펴볼 노릇이다.

국내에서도 관심이 높았던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의 ‘오사카도 구상’이 5년 만인 지난 1일 주민 투표가 재실시됐으나 또 부결됐다. 대구·경북과는 상황이 달라 관계없다고 하지만 그만큼 행정통합이 쉽지 않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대구·경북은 지난 1981년 분리 이후 지난 40년간 부단히 노력했지만 인구 소멸과 청년 유출이 심화되고 생산과 산업이 후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대구·경북 행정통합 논의는 지방이 더 큰 위기에 빠지기 전에 선제적으로 체질을 개선하자는 몸부림이다.

대구·경북은 하나의 생활 경제권을 이루고 역할을 분담, 함께 발전해야 하는 공동운명체임은 분명하다. 현재로서는 쪼그라 든 대구·경북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이 이뿐인 듯 하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역민들의 통합 반발 여론에 귀 기울여야 한다. 또 지역민들이 공감대를 형성, 합의에 이를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