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대구를 방문한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구·경북 지역의 사업 예산과 현안 해결을 위해 ‘협력의원 제도’를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대구·경북은 집권여당인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이 1명도 없다. 이에 따라 향후 지역과 여당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협력의원 제도의 구체적 운영방안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 대표의 계획은 대구·경북의 현실을 감안해 협력의원을 선정하고 이들이 지역의 이익을 위해 움직일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협력의원은 연고지 등을 고려해 선정될 전망이다.

이 대표는 “수도권에서 성장하고 국회의원이 됐지만 고향을 돕겠다는 의원들이 있다”며 “시·도당이나 지역위원회의 제안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또 “선정이 되면 원외위원장과 함께 대구경북발전특위에서 활동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지역 협력의원 제도는 활용 여하에 따라 다양한 성과가 가능하다. 대구·경북 지역은 그간 여당과의 뚜렷한 협의루트가 없어 특정 현안 발생 시 적지않은 불이익을 입어왔다. 오죽하면 ‘TK 패싱’이란 말까지 생겼겠는가.

야당인 국민의힘 일색인 지역의 정치구도를 다원화하는 데도 일조를 할 것이다. 국민의힘 의원들의 노력만으로는 어려운 일이 적지 않다. 보수와 진보의 상생 등 거창한 구호를 내걸지 않더라도 지역 현안이나 예산 확보에는 상대당의 협조가 필요한 사안이 많다. 성향이 다르다고 외면하거나 배척할 것이 아니라 지역 발전을 위해 잘 활용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

첫 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 그러나 협력의원 제도가 보여주기식 공약에 그쳐서는 안된다. 내실 없이 정치적 이벤트에 그치면 지역민에 엄청난 실망감을 주게 된다. 시도하지 않은 것보다 더 못한 결과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형식에 흐르지 않도록 하려면 당차원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당의 공식기구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지역 당 관계자들의 이야기도 흘려듣지 말아야 한다.

지역의 각 지자체는 협력의원 제도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일단 멍석은 깔아졌다. 협력의원들이 귀찮아 할 정도로 협의를 이어가야 한다. 지자체의 접근 전략에 따라 성과가 크게 달라질 것이다.

민주당의 협력의원 제도는 지난 9월 선보인 국민의힘의 ‘제2지역구 갖기 운동’(호남동행 국회의원)과 맥을 같이 한다. 국민의힘은 호남 41개 지역에 48명의 의원을 위촉했다.

여야의 상대 텃밭 다가가기 노력은 정치 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하다. 선의의 경쟁이 뿌리내리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