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봉 논설위원

조선시대 영남의 큰 고을이자 충절의 고장인 성주(星州)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쇠락을 거듭, 소멸 위기에 놓였지만 생명문화의 본향임을 알리고 전통문화를 되살리며 옛 성세를 되찾으려 몸부림치고 있는 것이다.

성주는 고려 충렬왕 34년 성주라는 지명을 처음 사용하여 성주목으로 승격했다. 이후 경산부로 환원했다가 조선 태종 원년인 1400년에 임금의 태를 조곡산에 안장하고 다시 성주목이 됐다. 당시 성주는 경상도에서는 가장 넓은 농지와 많은 저수지가 있어 풍요로운 곳이었다. 칠곡과 화원, 고령 일부까지 포함, 대구보다 큰 경상도의 중심지였다. 영남의 학문 중심지였다. 조선 중엽 한강 정구와 동강 김우옹 등 대학자와 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조선 후기 많은 서원이 건립되고 이진상 등 영남학파를 계승한 성리학자들을 주축으로 성주학파를 성립, 학문적 위세를 떨쳤다.

-광해군 폭정 비방, 전 주민 금고형 처하기도

선비 정신은 면면히 이어지고 있다. 성주의 기개는 광해군 때 전국을 강타했다. 광해군이 폭정을 휘두르던 1614년(광해군 7년) 성주 사람 김창록이 왕의 비행과 조정을 비방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성주목이 폐지되고 고령현에 예속된다. 주민 전체가 금고형에 처해졌다. 왕의 무도함을 세상에 대놓고 비방한 대가는 혹독했다.

영조 때는 무신 이석문이 사도세자 참사 후 성주 한개마을로 내려와 사도세자를 애도하며 ‘북쪽(北)’으로 ‘사립문(扉)’을 내고 평생을 은거했다. 이후 북비고택은 충절의 상징이 됐다.

유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김창숙은 근대 성주의 성가를 드높였다. 그는 성리학의 대가들에게 수학했으나 일제 침탈에 항거, 독립운동을 벌이다가 일경에 체포된다. 모진 고문과 오랜 감옥 생활로 불구의 몸이 됐다.

김창숙은 3·1운동 직후 유림을 대표, 독립청원서인 파리장서(Paris 長書)를 갖고 상해로 건너가 파리강화회의에 송부했다. 해방 후 친일 유림들을 청산, 유학의 기틀을 바로 세우고 성균관대학교를 설립, 교육가로도 활동했다.

이렇듯 성주는 안동에 버금가는 양반 고을이자 선비의 고향이다. 성주 이씨, 성주 배씨, 성주 도씨, 성산 여씨 등 성주를 본관으로 둔 성씨도 28개나 된다.

성주가 성세를 누린 데는 조선시대 부산서 한양까지 영남대로 3개 가운데 김해에서 현풍과 성주, 영동을 거쳐 한양에 이르는 영남우도의 거점 지역 역할을 한 영향이 컸다. 또한 부산서 왜관으로 이어지는 낙동강 수운(水運)의 중심지(화원)이기도 했다. 이에 성주목(牧)이 설치돼 목사가 다스렸고 학문이 꽃을 피웠다,

성주에는 세종대왕과, 태종, 단종 등 조선시대 임금 3명의 태실이 묻혀 있는 태봉이 있다. 월항면의 세종대왕자태실에는 세종대왕의 왕자 18명과 단종 등 19기의 태실이 조성돼 있다.

성주군은 2007년부터 ‘세종대왕자태실 태 봉안의식’을 재연하고 있다. 서울 경복궁에서 ‘태 봉출의식’을 거행하고 성주군에서 ‘태 봉안행차’와 봉안의식을 갖는다. 경복궁 교태전에서 왕자의 태를 씻어 태 항아리에 안치하고 경복궁을 출발해 태봉지인 성주까지 가는 의식이다. 태를 갈무리하는 장태(藏胎)의식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독특한 전통의례다.

‘세종대왕자태실 태봉안 의식 재현행사’는 매년 봄 열리는 ‘성주 생명문화 축제’의 핵심 행사로 참외 축제와 함께 열린다.

-성주 역사테마공원 준공, 정체성 회복

성주가 다시 비상을 시작하고 있다. 조선시대 영남의 큰 고을 성주목의 옛 모습을 재현한 ‘성주 역사테마공원’이 지난달 말 준공됐다. 이를 계기로 신 르네상스 문화시대를 꿈꾸고 있다.

성주 역사테마파크는 조선 전기 4대 사고 중 하나인 ‘성주 사고’와 ‘쌍도정’ 등을 재현하고 성주읍성 일부 구간을 정비해 일대가 옛 도시로 변모했다. 문화유산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도심 공원형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한 것이다. 각종 문헌과 전문가 고증을 거쳐 모든 시설을 복원했다. 성주 역사의 정체성을 회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아쉬운 것은 성주 초전면에 배치된 사드로 인해 전 국민의 이목이 쏠렸지만 3년이 지나도록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충절의 고장이 국방의 초병으로 시험대에 서 있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