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상진
▲ 김상진
김상진

수성구립용학도서관 관장

‘사이좋은 남매의 밭’, ‘가윤&지훈 주말텃밭’, ‘은성이와 시은이네’, ‘숲속태양농장’, ‘채소농장’, ‘고라니텃밭’

2020년 한 해 동안 무학숲도서관 ‘애또래체험정원’에 마련된 텃밭을 운영하는 가족들이 직접 짓고, 나무 팻말로 쓴 텃밭 이름의 일부다. 무학숲도서관은 지난해 봄 대구지방경찰청 뒤편에 조성된 무학산공원에 개관한 용학도서관의 분관이다. 아파트단지로 뒤덮인 수성구 지산동에 위치한 무학산공원이 도심의 허파 노릇을 수행하기 때문에 도서관 이름에도 자연스럽게 ‘숲’이란 키워드가 포함됐다. 지역주민들이 도서관에 마련된 텃밭에서 무와 배추를 심고 가꾸는 체험을 하는 것도 이와 연관된다.

‘숲도서관’이란 이름이 지어지면서 운영 방침도 자연스레 주어진 셈이다. 이 때문에 무학숲도서관에서 진행되는 각종 프로그램은 자연친화적이며,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와 지식을 체험 방식으로 제공하는데 집중되고 있다. 가족텃밭체험, 주말숲체험, 생태공예체험, 곤충사육체험, 벼농사체험, 무학산가족숲축제, 청소년생태탐방 등이 그것들이다. 덕분에 대구에서는 유일하게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도서관협회가 주관하는 ‘2020 특화도서관 육성 지원사업’에 선정돼 이름에 걸맞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올 봄 코로나19 사태가 신천지 대구교회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바람에 도서관이 문을 닫는 등 큰 어려움을 겪었지만, 얻은 교훈도 있다. 팬데믹(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등급인 코로나19 사태를 통해 숲도서관이 수행해야 할 역할에 대한 확신이 생겼다. 더구나 ‘위드(with) 코로나’라고도 불리는 ‘코로나 일상’에서는 더 말할 필요가 없을 정도다. 코로나19는 2002년에 발생한 사스, 2009년의 돼지독감, 2012년의 메르스 등 신종 감염병의 최신 버전이다. 이런 감염병을 단순하게 설명하자면 박쥐와 천산갑 등 야생동물을 숙주로 삼던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옮겨진 것이다.

이 대목에서 숲도서관이 자연생태계와 기후위기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할 이유가 있다. 자연생태계가 다양한 먹이사슬로 연결돼 있을 때는 바이러스가 소수의 생물 종에 집중되지 않는 희석효과 덕분에 감염병이 퍼질 가능성이 낮다. 하지만 생물 다양성이 줄어들어 자연생태계가 단순해질수록 바이러스 확산효과는 커질 수밖에 없다. 이와 함께 요즘 기후위기란 표현으로 강도가 높아진 기후변화와도 깊이 연결됐다는 지적이 있다. 기후변화는 신종 감염병의 유일한 독립변수는 아니지만, 자연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분석 결과 신종 감염병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지난 반세기와 기후변화가 악화된 시기가 일치했다고 한다.

요즘 통섭학자로 유명한 최재천 교수도 “기후변화와 그로 인해 사라질 생물 다양성, 그 두 문제에 코로나19도 연결돼 있다”고 지적했다. 인간이 자연생태계를 파괴하고, 자연 속에서 잘 살던 야생동물들이 인간에게 바이러스를 옮길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기 때문에 신종 감염병이 나타난다는 설명이다. 다른 학자들도 인수 공통 감염병과 기후변화 모두 환경파괴로부터 비롯됐다고 설명한다. 지난 7월 유엔환경계획(UNEP)과 국제축산연구소(ILRI)는 ‘다음에 닥칠 팬데믹 예방하기’란 보고서에서 “팬데믹을 초래하는 원인은 기후변화와 생물 다양성의 상실을 초래하는 원인과 흔히 동일하다”고 확언하기도 했다.

코로나19 사태는 우리의 삶을 완전히 바꿔버리면서 인간에게 환경파괴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체감하게 한 자연의 경고다. 특이한 기상현상은 기후위기의 한 단면에 지나지 않는다. 기후위기는 각종 질병, 정신질환, 자살, 범죄, 전쟁, 작황, 아동발달 등 거의 모든 영역의 인간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그 중 하나가 코로나19다. 그런 면에서 감염병 위기는 역설적으로 우리에게 기후위기의 심각성에 눈뜰 수 있는 기회를 줬다고 생각해야 한다. 더 늦기 전에 코로나19와 기후위기가 인간이 스스로 초래한 거대한 인과관계 안에 함께 존재한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이제 기후변화를 넘어 기후위기 시대를 맞은 우리의 역할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기후위기 대응은 코로나19 사태와 같은 재난의 근본적 해결책인 것과 동시에, 시민들의 건강을 지키고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유일한 방법이다. 건강한 도시를 지키기 위해서는 모든 시민의 관심과 함께, 공공기관 차원의 역할이 반드시 필요하다. 무학숲도서관이 추구하는 지향점도 같은 맥락이다. 내년에는 퇴비를 만드는 과정에서 굼벵이가 자라는 모습을 지역주민과 함께 지켜볼 계획이다. 지난달 초순 벼를 수확한 텃논에 뿌려진 보리씨앗은 벌써 파릇파릇한 새싹으로 변신했다.



서충환 기자 seo@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