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2025년까지 12조 원을 투자하는 ‘대구형 뉴딜’이라는 통 큰 사업 계획을 내놓았다.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한국형 뉴딜의 후속 대책이다. 코로나19라는 전대미문의 사태 속에 대구시의 뉴딜 혁신인재 1만 명 양성과 일자리 11만 개를 만들겠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대구시가 인재 양성과 일자리 창출에 역량을 모으려는 의도가 읽힌다. 대구시의 계획이 제대로 추진돼 어려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폭제가 되길 바란다.

대구시는 지난 28일 대구형 뉴딜 버전으로 ‘시민중심, 탄소중립 건강도시’를 내세운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대구형 뉴딜은 일자리 11만 개 창출, 혁신인재 1만 명 양성, 온실가스 250만t 감축이 목표다. 산업 뉴딜, 공간 뉴딜, 휴먼 뉴딜 등 3대 전략 아래 10대 분야, 165개 사업으로 구성됐다.

산업 뉴딜은 지역 산업 전반에 디지털과 그린 기술을 융합하고 확산해 지역의 미래 성장판을 키우는데 초점을 맞췄다. 공간 뉴딜은 디지털과 그린 기술을 도시 공간에 접목해 효율적이고 쾌적한 삶터를 시민에게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휴먼 뉴딜은 지역의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소외되는 시민이 없도록 촘촘한 안전망을 구축하는 데 있다.

계획대로라면 매년 평균 2, 3조 원의 예산을 대구형 뉴딜 예산에 쏟아부어야 한다. 올해 대구시 예산 9조3천897억 원을 감안하면 엄청난 예산이다. 코로나19 사태로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재정상황 속에서 예산 조달이 녹록지 않아 보인다. 특히 코로나 19로 고통을 겪는 시민들의 일상 회복과 침체된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예산 편성과 집행이 우선돼야 한다는 점에서 예산 조달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다.

코로나 극복을 위한 감염병 전담병원 및 시설 확충과 인력 확보를 위한 예산도 시급하다. 게다가 앞으로 정부가 매칭 펀드 형태로 얼마만큼의 퍼주기식 복지예산을 편성할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이런 판국에 5개년 계획이 자칫 뜬구름 잡기식 계획이 되어서는 곤란하다. 필요하다면 우선순위를 조정할 여지도 남겨 두어야 한다.

대구형 뉴딜에 포함된 미래차 부품 산업, 서대구 역세권 개발, 금호강 습지 복원 등의 사업은 이미 계획 중이거나 추진 중인 사업들로 중복과 재탕 우려가 나온다. 대구형 뉴딜이 미래 성장의 발판이 될 수 있도록 예산 조달에도 더욱 힘을 기울여야 한다. 대구시가 의욕적으로 발표한 사업이 자칫 어긋나지 않도록 해야 함은 물론이다. 예산 조달과 실행 계획을 빈틈 없이 수립, 추진해나가길 바란다. 대구형 뉴딜을 완성, 시민들의 삶의 질이 개선되길 바란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