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인회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 추모 공간 아냐”||상인회와 재단 “흐지부지 협의한 대구시

▲ 18일 오전 2‧18안전문화재단과 대구지하철참사 유가족들은 대구 동구 용수동 대구시민안전파크에서 팔공산 동화지구 상가번영회의 반대 집회 속 추모식을 가졌다.
▲ 18일 오전 2‧18안전문화재단과 대구지하철참사 유가족들은 대구 동구 용수동 대구시민안전파크에서 팔공산 동화지구 상가번영회의 반대 집회 속 추모식을 가졌다.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추모식이 유족과 팔공산 상인들의 갈등으로 얼룩졌다.

2·18안전문화재단은 18일 오전 대구 동구 팔공산에 있는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에서 대구 중앙로역 지하철 화재 참사 18주기 추모식을 개최했다.

이날 추모식은 팔공산 일대에서 영업하는 상인과 주민 등으로 구성된 ‘팔공산추모공원 반대투쟁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가 집회를 열면서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 진행됐다.

비대위는 추모식이 열리기 약 1시간 전부터 ‘반대 집회’를 시작했고 경찰 인력 200여 명이 배치되는 등 현장 분위기는 어수선했다.

특히 비대위가 추모탑 일대에 현수막을 내거는 과정에서 유족들이 현수막을 걷어 내려고 하자 물리적 충돌까지 일어날 뻔 했다.

유족과 상인 간 갈등으로 추모식 시작은 20분가량 지연됐다.

우여곡절 끝에 추모식이 진행됐지만 비대위는 확성기를 통해 음악을 틀면서 행사를 방해했다.

추모식 내내 유족들은 슬픔에 잠겨 눈물을 훔쳤지만, 상인들은 “추모 행사 중단하라” 등의 구호를 외쳐 시민안전테마파크 건립과 주민 상생의 의미가 퇴색됐다.

이 같은 양측의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오른 데에는 대구시의 미온적인 태도가 한몫했다.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는 2003년 2월18일 발생한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의 아픈 과거를 잊지 않고, 안전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2008년 12월 국·시비와 국민성금 등 250억 원을 들여 건립됐다.

건립 당시 팔공산 일대 상인과 주민이 ‘위령 시설’이라며 반발하자 대구시는 ‘추모식 관련 행사 불가 입장’을 공문으로 전달하며 불만을 잠재웠다.

하지만 재단 측이 2011년과 2012년 테마파크에서 추모식을 진행했고 물리적 충돌까지 발생했다.

이후 재단은 추모식을 중앙로역에서 진행해 오다가 2019년 양측의 화해 공동성명을 발표로 테마파크에서 열리게 됐다.

그러나 대구시, 상인회, 재단의 3자 상생 포럼에서 재차 갈등에 불이 붙었다. 상인회는 이때부터 테마파크에서의 추모식을 반대했다.

팔공산 동아지구 상가번영회 김경환 회장은 “2006년 2월 대구시 공문에 따라 테마파크는 추모 공간이 아니다”며 “테마파크가 추모식으로 인해 시민의 안전학습장이자 휴식처인 순수한 기능을 상실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2‧18안전문화재단 김태일 이사장은 “상인회과 재단의 갈등을 야기하게 한 대구시의 책임이 가장 크다”며 “대구시는 상인회와 유족들에게 서로 다른 합의를 했다”고 말했다.



유현제 기자 hjyu@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