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제2대구의료원 설립에 나섰다.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을 절감한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기존의 대구의료원이 코로나 전담병원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취약계층에 대한 의료서비스가 크게 약화되는 등 부작용이 나타났다. 코로나 1차 확산 때 대구의료원은 모든 병상을 코로나 확진자 진료에 투입하며 소외계층에 대한 의료서비스 공백을 초래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 18일 대구 코로나 확진자 발생 1주년을 맞아 “효과적인 감염병 대응과 의료취약계층 지원 강화를 위해 2021년 추경에 제2의료원 건립을 위한 용역비를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제2의료원이 감염병 방역과 소외계층 의료서비스 기능을 분담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대구경북연구원은 연구용역을 통해 병상규모, 건립장소, 기존 대구의료원과의 관계 설정 등을 검토한다.

제2대구의료원 건립은 빠를수록 좋다. 의료는 다른 어떤 복지보다 중요하다. 급하지 않은 사안이 없겠지만 필요하다면 다른 분야 SOC 사업을 일정기간 미루더라도 예산을 우선적으로 배정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

예산 부족, 운영 적자 등의 해묵은 이유만 내세울 때가 아니다. 2천억 원 안팎으로 예상되는 건립비는 지자체와 국가가 공동으로 부담토록 돼 있다. 대구시와 지역 정치권은 이번 기회에 시민들의 숙원인 제2의료원이 하루 속히 건립될 수 있도록 힘을 합쳐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중앙정부가 지방의료원 지원에 적극적이라는 소식이 들린다. 그간 정부는 지방의료원 지원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일각에서는 현재 대구의료원이 대구서부권에 위치한만큼 제2의료원은 동부권에 설립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제2의료원 건립이 순조롭게 추진되면 2026년 쯤에는 문을 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구경북권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도 빼놓을 수 없는 지역 현안이다. 대구는 지난해 6월 영남권 감염병 전문병원 선정에서 탈락했다. 시도민 모두가 지역 선정을 의심치 않았지만 최종 단계에서 부산에 고배를 마셨다. TK패싱이란 여론이 비등했다.

이에 정부가 지난달 1곳 추가 구축 방침을 밝혔다. 다음달이면 입지 권역이 확정된다. 그러나 상황은 낙관을 불허한다. 이번에는 모든 의료 인프라가 집중돼 있는 수도권인데도 불구하고 인천이 해외 입국자 방역 등을 내세워 유치 경쟁에 가세했다.

대구시는 지역 의료계 등과 총력체제를 구축해 감염병 전문병원을 반드시 유치해야 한다. 허술한 점은 없는지 유치전략을 다시 한번 점검하기 바란다. 시민들에게 허탈감을 주는 사태가 거듭돼서는 안된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