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입시에서 무더기 정원미달 사태를 빚은 대구·경북 대학들은 입시결과에 책임을 지고 총장이 사퇴의사를 밝히는가 하면 지방 분교 이전 논의가 진행되는 등 시종 어수선한 분위기다.
지난 5일 김상호 대구대학교 총장이 올해 신입생 모집 부진에 책임을 지고 사퇴할 뜻을 밝혔다.
내년 5월이 임기 만료인 김 총장은 올해 입시결과와 관련해 자신의 책임을 묻는 내부 게시판의 글에 “이번 학기 내에 내년 입시와 편제 개편 등을 다룰 다음 집행부를 선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댓글을 남겨 사퇴의사를 내비쳤다.
전국 각 대학에서 정원 미달이 속출한 가운데 총장이 사태에 책임을 지고 스스로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밝힌 건 대구대가 처음이다.
대구대는 2021학년도 신입생 등록률이 80.8%로 지난해보다 19%포인트 떨어져 대량 미달사태를 빚었다.

지난 1월19일 동국대는 본교에서 이사회를 열고 ‘2020년도 법인 중간감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경주캠퍼스 발전 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신입생 유치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경주캠퍼스 이전을 포함한 장기 발전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이 얘기가 전해지자 주낙영 경주시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전에 단호히 반대하며 일체 논의를 중단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지역 대학 위기설이 현실로 다가오자 한때 ‘신의 직장’으로 불리던 대학 교직원 사회도 술렁이고 있다.
학생 수 감소는 대학 재정 악화로 이어지고, 이는 교직원들의 생존 문제와도 직결되기 때문이다.
특히 사립대의 경우 학생 수 감소가 재정 부담 악화로 이어져 학내 구조조정뿐 아니라 신규 채용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구조다.
지역 대학 관계자는 “신입생이 줄면 입학금, 등록금 수입 감소에다 교육부 지원금도 줄어들어 학교에 미치는 충격파가 클 수밖에 없다”며 “정원 미달 사태로 인한 몸집 줄이기는 구조조정으로 이어 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정원 미달 사태는 이미 10여 년 전부터 예견된 일이라고 입을 모은다.
입시전문가는 “대구·경북에서 수능시험을 치르는 학생들이 타 지역으로 빠지지 않고 몽땅 지역 대학교와 전문대에 지원한다해도 올해 2만 명 이상이 모자란다”며 “정원을 줄이지 않으면 매년 이 같은 현상은 되풀이 될 수밖에 없다. 더 심각한 파국에 이르기 전에 자구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시대흐름에 맞는 경쟁력 있는 학과 신설과 각 대학 특성에 맞는 입시 전략을 새롭게 짜야 할 것”이라며 “위기에 내몰린 대학이 스스로 문을 닫을 수 있도록 퇴로를 열어주는 출구 전략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2021학년도 입시에서 대구권 4년제 대학 가운데 정원을 모두 채운 학교는 단 한 곳도 없다.
지난해 유일하게 100%의 등록률을 보였던 대구가톨릭대도 올해 83.8%의 등록률을 나타냈고, 경북대도 69명이 모자란 98.5%의 등록률을 기록했다.
서충환 기자 seo@idaegu.com
<저작권자ⓒ 대구·경북 대표지역언론 대구일보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