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 대란이다. 레미콘 운송노조의 파업으로 대구지역 건설현장이 줄줄이 멈춰서고 있다. 건설공사에 필수인 레미콘 공급이 전면 중단되면서 후속 공정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다.

조속한 시일 내 정상화 되지 않으면 공기 연장이 불가피해진다. 특히 신축 아파트 공사의 경우 입주 지연과 이에 따른 건설사 손실 등이 우려된다.

그러나 협상은 ‘강 대 강’ 대치만 이어져 쉽게 타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노조와 레미콘 업체 측의 운송료 상향조정 요구에 건설업계 내부에서 대응에 이견을 보이는 것도 문제다. 대구지역 업체와 서울지역 대기업의 수용 수준이 달라 의견 통일이 시급한 실정이다.

건설은 지역경제를 이끌어 가는 중심 축이다. 건설 분야의 공정 스톱이 지역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클 수밖에 없다. 지역경제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최악의 상황이 1년 반 가까이 이어지는 국면이다. 이번 사태가 조속한 시일 내 해소되지 않으면 후유증은 예상 이상으로 심각해질 수 있다.

대구 레미콘운송노조의 파업은 지난달 21일 지역 내 대기업 일부 현장을 대상으로 시작된 뒤 지난 10일 지역 전체 공사현장으로 확대됐다. 파업은 현재까지 10일 넘게 지속되고 있다. 노조는 대구지역 170개의 크고 작은 건설 현장에 공급되던 레미콘 운송을 전면 중단했다. 750여 대의 운송차량이 멈춰섰다.

운송료 갈등이 불거진 이후 지역 레미콘업계와 노조는 지난달 28일 운송 단가를 현재보다 9% 인상하는 안에 조건부로 합의했다. 이어 건설업계에 공문을 보내 9% 인상안을 수용하는 현장에 한해 공급을 재개하겠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대기업 중심의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자재구매담당자 모임)는 지난 3일 이 안을 거부하면서 5% 인상안을 제시했다. 지역 건설업계는 피해 최소화를 위해 레미콘 업계의 단가 인상 요구안을 수용키로 하고 운송재개 약속을 받았지만 허사가 되고 말았다. 노조가 대기업 현장과 함께 지역 건설업체 현장에 대한 공급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건설협회 대구시회 관계자는 “지역 건설업계가 단가 인상 요구안을 전면 수용했음에도 공급재개가 되지않고 있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현안 교섭에서 제안한 사항을 어기거나 일방적으로 변경해선 안된다는 것은 상식이다. 상호간 신뢰가 깨져 합의를 이뤄나가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파업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늘어날 조짐이다. 건설현장의 공정 스톱은 궁극적으로 피해가 시민에게 돌아가게 된다. 대구시 등 관계기관도 적극적 중재를 기다리는 지역 건설업계의 요청을 외면하지 말고 해법 찾기에 동참해야 한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