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일반 국민의 7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가속화 시대를 대비해 맞춤형 ‘디지털 포용’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고령·성주·칠곡)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2020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4대 정보 취약계층(장애인·저소득층·농어민·고령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72.9%였다.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일반 국민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100으로 두고 측정한 수치다.

지난해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고령층이 68.6%로 가장 낮았다. 이어 농어민 77.3%, 장애인 81.3%, 저소득층 95.1% 순이었다.

같은 기간 정보 취약계층의 ‘PC 및 모바일 스마트기기의 이용 능력’인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은 60.3%로 가장 낮았다.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74.8%),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93.7%) 이 뒤를 이었다.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 대비 역량 수준이 약 30%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돼 디지털 정보화 역량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 의원은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 50조에 따라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을 의무적으로 시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계층별 맞춤형 정책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며 “고령층을 비롯한 농어민·장애인·저소득층의 계층별로 차별화된 교육 정책도 필요하지만 코로나 시대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디지털 정보격차를 완화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혜림 기자 lhl@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