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방 경제 활성화와 불합리한 규제 개선을 위해 그린벨트 해제 요건을 대폭 완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지자체가 추진하는 역점 사업에 대해서도 그린벨트 총량 규제 적용을 받지 않고 해제가 가능해지고 여태 개발이 전면 금지됐던 1·2급지 그린벨트도 지방에 한해 풀리게 됐다. 지방에 첨단 산업이 뿌리내릴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지방소멸을 막겠다는 취지다.

역대 정부가 신도시나 새로운 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그린벨트 일부를 해제하는 경우는 왕왕 있었지만 제도 자체를 바꾼다고 발표한 것은 드문 사례라서 국토개발에 획기적 변화가 예상된다. 특히 그린벨트와 관련된 규제 완화는 따로 법 개정이 필요하지 않아 정부가 추진만 하면 되는 만큼 개발의 가시화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여진다.

지난해 초 그린벨트 관련 정책 완화 방안이 나오면서 그린벨트를 해제할 수 있는 지자체장의 권한이 100만㎡까지 가능해졌다. 그런데 이번 방침으로 이보다 더 큰 규모로 해제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마무리만 남은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사업을 추진할 특수목적법인(SPC) 구성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홍준표 대구시장이 대구 공항 주변 460만㎡ 규모의 그린벨트를 해제해 주택 단지를 조성하고 이 사업을 먼저 추진해 SPC 참여 기업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주장이 바로 실천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또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매천시장) 이전 신축 부지 마련도 탄력이 붙게 됐다. 달성 그린벨트 30만㎡ 이상 해제가 필요하다는 용역 결과가 더 이상 발목을 잡지 않게 됐기 때문이다. 특히 대구와 군위가 통합되면서 두 지역 사이에 남아있던 그린벨트도 메가시티 추진에 걸림돌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경북도 역시 이번 발표에 따라 각 시·군의 그린벨트 해제와 관련된 사업을 적극 발굴해 추진할 방침으로 알려져 앞으로 경북의 지도가 어떻게 바뀔지 기대된다.

다만 그린벨트 해제 때마다 꼬리표처럼 따라다녔던 난개발 우려는 해제 면적 확대로 더 커지게 됐다고 할 수 있다. 그 말은 해제가 주는 혜택도 좋지만 철저한 심의나 검토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50년 동안 묶어두었던 국토의 허파가 한꺼번에 그 기능을 상실할 수도 있다는 걸 의미한다. 다른 어느 사안 보다 운영의 묘를 살리는 것이 그린벨트 해제의 진정한 수혜를 보는 길이라는 걸 인식하는 게 해제의 출발점일 것이다.







김승근 기자 ksk@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