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의 디지털격차 해소가 초고령화사회 진입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인터넷에서 금융키오스크까지 디지털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고령층 삶의 질은 추락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해법 구축이 절실해 보인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2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50대 이상의 경우 디지털정보화 역량 수준은 54.5%로 장애인(75.2%), 농어민(70.6%), 저소득층(92.9%), 북한이탈주민(84.1%) 등 모든 취약계층 중 가장 낮았다.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 역시 72.6%로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고령층이 패스트푸드점에서 키오스크로 햄버거 하나 주문하는 것조차 어려운 시대가 됐다는 걸 의미하는 수치라고 할 수 있다. 생활 속 디지털을 대변하는 기기인 키오스크에 대한 조사에서는 공공 및 민간분야를 포함해 2019년 18만9천여대에서 2022년 45만4천여대로 1.4배 정도 늘어났다. 이 중 요식업 분야는 같은 기간 16배가 증가된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비접촉문화가 확산되면서 키오스크 역시 디지털전환이란 이름 아래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일상의 편의성을 높여주고 있지만 고령층은 이런 혜택에서 소외되고 있다 할 것이다.

고령층의 디지털 격차로 인한 불편은 공공행정부문도 마찬가지다. 주민등록등본을 한 통 떼려고 해도 인터넷 활용이 자유로운 일반인들은 무료로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해 5분 안에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온라인 발급이 힘든 고령층은 직접 주민센터에 방문해 400원을 들여야 발급받을 수 있다. 고령층의 디지털 격차는 결국 직접 가는 불편함에 차비, 발급비 등 돈까지 더 내도록 만드는 것이다. 스마트폰을 활용해 금융 업무 대부분을 처리하는 다른 세대와 달리 고령층은 디지털금융 접근성도 떨어진다. 여기에 고령층이 디지털금융서비스를 이용할 때 겪는 어려움이 어떤 것인지 진단조차 정확하게 나온 자료도 찾기 힘들다. 디지털강국이란 말이 무색할 정도다.

초고령화사회 진입에 이어 속도마저 빨라지고 있는 지금, 디지털 약자인 고령층의 디지털격차 해소는 생존과 연결해 접근해야 한다. 더 이상 키오스크나 온라인 업무를 대하게 될 경우 포기하거나 뒤로 물러서지 않게 디지털리터러시 교육 강화와 기기 접근의 편의성 개선 등에 대한 주변의 관심 그리고 정부나 지자체 차원의 예산 및 정책 지원이 디지털 전환 속도를 따라잡도록 해야 할 것이다.



김승근 기자 ksk@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