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길

발행일 2020-06-16 16:25:40 댓글 0 글자 크기 키우기 글자 크기 줄이기 프린트
낭길

정경화

섬은 아주 조용히, 길 하나를 낳았네/ 육지서 따라온 시간 잠시 멈춰 두라며/ 새우란 금빛 향기가 계집처럼 반기네

섬은 아주 가파른, 길 하나를 닦았네/ 손금보다 짜디짜도 투정 말고 걸으라며/ 파도살 목쉰 호령이 귓밥을 깨우네

섬은 아주 먼, 길 하나를 열었네/ 아무나 밟지 않아 뒷모습이 더욱 푸른/ 통치마 추슬러 놓고 고름 슬몃 풀어두네

.

정경화는 대구 출신으로 2001년 동아일보와 농민신문 신춘문예 시조 당선으로 등단했다. 시조집으로『풀잎』『시간 연못』, 시조선집 『무무무 걸어 나오고』등이 있다. 왕성한 창작 활동으로 시 세계의 깊이와 넓이를 확장하는 일에 전력을 다하고 있는 시인이다.

낭길은 청산도 절벽에 난 길을 이른다. 길 이름이 미묘한 울림을 안긴다. ‘낭길’의 첫 줄은 섬은 아주 조용히, 길 하나를 낳았네로 시작된다. 시를 쓸 때 첫줄을 뽑아내는 일은 지난하다. 첫머리만 잘 풀리면 술술 전개가 될 수 있다. 그래서 모두 고심을 많이 한다. 낭길은 오랜 역사를 가진 섬이 출산한 길이다. 아름다운 섬 청산도가 낳은 길인만큼 의미가 크다. 그 길에는 육지의 삶을 먼발치에 밀쳐버리라는 귀한 생명이 서식하고 있다. 육지에서 따라온 시간을 잠시 멈춰 두라고까지 하는 존재는 바로 새우란이다. 금빛 향기가 계집처럼 반기고 있다. 별안간 계집이라고 하니 다소 뜻밖일 수 있지만 몹시 정겨움을 그렇게 표현한 것이다. 향기조차도 금빛이니 최상의 향연과 맞닥뜨렸다. 행운이 따른 것이다.

섬이 낳은 길은 아주 가파른 길이다. 잘 닦아놓기는 했지만 쉽게 오고갈 수 없는 험한 길이다. 그 길을 손금보다 짜디짜도 투정 말고 걸으라며 파도살 목쉰 호령이 귓밥을 깨우는 것을 듣고 있다. 그래서 섬은 아주 먼 길 하나를 열었고 그 길은 아무나 밟지 않아 뒷모습이 더욱 푸르러 통치마 추슬러 놓고 고름을 슬몃 풀어두고 있다. 미묘한 장면의 연출이다. 그리고 셋째 수에 나타난 통치마라는 시어를 통해 첫수에서 계집이라는 말이 왜 등장했는지 헤아릴 수 있다.

누구나 아름다운 경치를 보면 그림을 그리거나 시로 써보고 싶은 마음이 든다. 특히 여행을 통해 시상을 얻기 좋은데 막상 돌아와서 써보려 하면 수월치가 않다. ‘낭길’은 여정에서 얻은 작품이지만 기행시는 아니다. 그 속에 화자만이 구현할 수 있는 메시지가 있고 미학적 의미형성과 미묘한 가락이 축조되어 있다. 어떻게 시가 생산되는지를 ‘낭길’은 여실히 보여준다. 그 길은 실로 아무나 밟을 수 없는, 밟아서는 아니 되는 가파른 길이다. 육지의 삶에 계속 매달리는 이들에게는 허락되지 않는 신성한 길이다. 먼 남도 땅 아름답기 이를 데 없는 청산도는 시인의 시 ‘낭길’을 통해 다시금 그 아름다움이 더해지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의미 부여는 글을 쓰는 이들에게는 하나의 사명과도 같은 것이다.

‘낭길’은 운율종결어미인 네를 각 수마다 두 번 씩 여섯 번 되풀이하고 있다. 소월의 시 ‘산유화’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낳았네, 반기네, 닦았네, 깨우네 열었네, 라고 다섯 번을 3음절로 이어가다가 마지막을 풀어두네라고 4음절로 마무리함으로써 리듬에 변화를 준 것도 눈여겨볼 점이고, 각 수 초장에서 조용히, 길 가파른, 길 먼, 길이라고 세 번 반점 처리를 한 것도 의도적인데 효과적으로 작동하고 있다. 한 편의 시가 완성되기까지 이렇듯 치밀한 전략과 섬세한 감각이 필요한 것이다. 그런 것을 생각하면 시는 정말 아무나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런 까닭에 더욱 도전의식에 불을 붙일 수밖에 없지 않을까 싶다.

올해가 가기 전‘낭길’을 읊조리며 청산도를 한번 찾아가보시기를…. 이정환(시조 시인)

<저작권자ⓒ 대구·경북 대표지역언론 대구일보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